2025.04.04 (금)

  • 맑음동두천 6.3℃
  • 맑음강릉 5.9℃
  • 맑음서울 7.8℃
  • 구름조금대전 8.9℃
  • 맑음대구 7.5℃
  • 맑음울산 6.2℃
  • 맑음광주 8.5℃
  • 맑음부산 7.9℃
  • 맑음고창 5.5℃
  • 맑음제주 7.4℃
  • 맑음강화 3.9℃
  • 맑음보은 6.8℃
  • 구름조금금산 8.0℃
  • 맑음강진군 5.7℃
  • 맑음경주시 4.0℃
  • 맑음거제 8.7℃
기상청 제공

병해충 방제 & 잡초

배추·무에 주요 관리 병해<2>

노균병(원인균: Hyaloperonospora parasitica, 곰팡이)
잎에 발생한다. 발생 초기에 잎 앞면에 담황색을 띤 작은 부정형 병반이 형성된다. 잎을 뒤집어 보면 서릿발 형태의 하얀 곰팡이가 많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진전되면 작은 병반들이 합쳐져서 커지고 황갈색으로 변하며, 점차 잎이 말라죽는다. 이 병은 저온 다습한 환경에서 잘 발생하고 땅과 가까운 아래쪽 잎부터 병징이 시작하는 경향이 있다. 


병원균이 병든 식물체의 조직 안에서 난포자 상태로 월동하여 이듬해 새로운 전염원이 된다. 발병 포장에서는 병든 잎을 잘 제거하여 전염원을 없앤다. 주변 환경이 습하지 않도록 환기와 통풍을 잘 시키고 토양 또한 과습 하지 않도록 관리한다. 발병 초기에 배추·무에 노균병에 등록된 약제를 살포하여 방제한다. 



탄저병(원인균: Colletotrichum higginsianum, 곰팡이)
주로 잎에 발생하며 무의 경우 뿌리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처음에는 잎에 흰색∼회색을 띤 원형 반점이 나타나고 진전되면 작은 병반들이 합쳐지면서 부정형으로 커진다. 병반 주위에 검은 테두리가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심하게 감염된 잎은 말라죽는다. 



병원균은 병든 식물체의 조직에서 월동을 한 후에 다음 해 전염원이 된다. 이 병은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잘 발생하며, 주로 여름과 가을에 노지에서 재배할 때 많이 발생할 수 있다. 심하게 발병하지는 않으므로 발생 초기와 수확 이후에 병든 잎을 잘 제거해주고 포장을 깨끗하게 관리한다.

<팜&마켓매거진 10월호>에서는 박미정 연구사의  배추·무에 주요 관리 병해에 관해 더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C) 팜앤마켓. 무단전재 재배포금지

관련기사





포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