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상 수리취의 주 전체가 시든다. 뿌리를 뽑아 보면 토양과 접한 줄기 혹은 주근, 잔뿌리의 일부가 담갈색으로 썩는다. 병든 줄기를 절단하여 보면 도관부가 갈변되어 있다. 병원체 : Phytophthora cryptofgea Pethybr. & Laff. 색조류계 > 난균문 > 난균강 > 노균목 > 노균과 > 역병균속Phytophthora에 속한다. 병원균은 난포자와 유주자낭, 유주자를 만든다. 난포자는 원형으로 막이 두텁고, 유주자낭은 타원형으로 그 안에 헤엄 털이 2개 달린 유주자가 들어 있다. 물속에서 사는 수생균으로부터 진화한 것으로 추정된다. 토양 서식균으로 토양에서 장기간 생존이 가능하다. 발생생태 7월~8월에 발생한다. 병원균은 난포자 형태로 토양 속에서 장기간 생존한 후 발아하여 유주자낭을 만들며 그 안에 있던 유주자가 바깥으로 나와 토양수분을 따라 이동하여 토양과 접하는 부위나 뿌리를 침입하여 발병한다. 병 발생에는 토양수분이 중요한 역할을 하며 저습지나 물 빠짐이 나쁜 찰흙 토양, 장마철에 많이 발생한다. 방제 방법 • 병에 걸렸던 곳은 피하거나 토양을 소독한 후 재배한다. • 두둑을 높여 배수를 좋게 하거나 배수가 잘 되는 토양에
갈색무늬병 특징 - 잎, 잎자루, 줄기 등에서 발생한다. - 다갈색이나 흑갈색의 무늬이다. - 뒷면에 회색 곰팡이가 생긴다. - 무늬 둘레에 담황색의 테두리선이 생긴다. 검은무늬병 특징 - 흑갈색의 병반과 잎 뒷면 흑색 소립 형성. 그물무늬병 특징 - 황갈색이나 청동 빛깔의 그물모양의 증상이 잎 표면에 나타난다. - 병반이 진전되면 점점 커지면서 여러 개의 병반이 잎 표면 전체를 덮는다. - 오래된 병반은 말라 찢어지며 조기 낙엽된다. 갈색무늬병, 검은무늬병 그물무늬병 관리방법 - 테부코나졸 유제, 클로로탈로닐 수화제 등을 살포한다. - 발생 초기 10일 간격 3회 이내로 살포한다. - 저항성균 출현을 방지하기 위해 연속 살포를 피하고 다른 계통의 약제와 번갈아 살포할 것을 권장한다, 굼벵이 특징 - 땅속에서 꼬투리를 가해하여 피해를 주며, 심할 경우 뿌리를 갉아 먹는다. - 주로 큰검정풍뎅이가 피해를 준다. 관리방법 - 테플루트린 입제, 카보퓨란 입제 등을 살포한다. 약 성분이 땅속에 잘 스며들도록 비 오기 직전에 뿌리거나 뿌린 후 약간의 관수를 하면 효과적이다. 다음 호에서는 <기능성 잡곡류 생육중기 주요 병해충 피해 특징
잎응애과 Tetranychidae 학명 Tetranychus urticae Koch 영명 Two-spotted spider mite 피해와 진단 - 사과나무 외에도 배나무의 주요 해충이며, 옥수수·콩 등 전작물과 채소, 화훼, 잡초 등도 가해하여 기주범위가 매우 넓다. - 5월부터 10월에 걸쳐 주로 잎 뒷면에서 구침(주둥이)을 세포 속에 찔러 넣고 엽록소 등 내용물을 흡즙하므로 피해가 상당히 진전된 후에야 육안으로 구분이 된다. - 사과나무 피해 잎은 황갈색으로 변색되어 광합성 및 증산작용이 저하되며, 심하면 8월 이후에 조기낙엽이 되고, 과실의 비대·착색·꽃눈형성 저하등에 영향을 주기도 한다. 일부가 수확 전에 과실의 꽃받침 부위로 이동하는데 이러한 점박이응애의 과실 부착은 사과 수출시 큰 문제가 되고 있다. 발생생태 - 등황색의 교미한 암컷성충으로 주간부의 거친껍질 틈새나 지면의 낙엽 및 잡초에서 주로 월동한다. - 겨울 중 많은 월동성충이 사망하고, 이른 봄에 생존한 월동성충이 잡초로 옮겨가 가해하면 등쪽 양편에 검은 반문이 있는 여름형으로 바뀌면서 약 20여일 동안 40여개를 산란한다. 이후 세대부터는 30여일 동안에 약 100개 정도를
* 이 기사는 팜앤마켓매거진 2024년 9월호에서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다음 호에서는 <점박이응애>에 대해 연재한다.
학명 Panonychus ulmi Koch 영명 European red mite 해충 용어 해설 무시충 : 날개 없는 진딧물 성충 유시충 : 날개 있는 진딧물 성충 노숙 유충 : 번데기 되기 직전의 애벌레 무각 유충기 : 다리 없는 어린 유충기 유각 유충기 : 다리 생긴 어린 유충기 피해와 진단 사과, 배, 복숭아나무 등 100여 종의 수목을 가해한다. 5월부터 10월에 걸쳐 유충, 약충은 잎 뒷면에서, 성충은 주로 잎 겉면에서 구침(주둥이)을 세포 속에 찔러 넣고 엽록소 등 내용물을 흡즙하므로 피해잎 표면이 백색 반점으로 보인다. 피해잎은 황갈색으로 변색되어 광합성 및 증산작용이 저하되며, 심하면 8월 이후에 조기낙엽이 되고, 과실의 비대·착색·꽃눈 형성 저하 등에 영향을 주기도 한다. 발생생태 알 상태로 작은 가지의 분기부分岐部나 1~2년생 이상 가지의 눈 주위에서 월동한다. 연간 7~8세대를 경과하지만, 7월 이후는 세대가 중복된다. 사과나무의 개화기인 4월 하순부터 5월 상순에 부화하고, 부화한 유충은 과총엽으로 이동하여 섭식하며, 부화 2~3주 후부터 성충이 된다. 6월 하순 이후 기온이 상승하면서 증식이 빨라져 발생최성기는 7월 하순부터 8월이지만
다음 호에서는 <사과나무 응애>에 대해 연재한다. *이 기사는 팜앤마켓매거진 2024년 7월호에서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후기 병징 병반이 오래되면 병반부가 쭈글해지면서 찌그러들기도 하고 병원균에 따라 병반부에 다량의 병포자를 형성하기도 한다. 다음 호에서는 <겹무늬썩음병 4>에 대해 연재한다.
줄기썩음병 莖腐病, Stem rot 증상 토양과 접하는 부위의 줄기나 뿌리가 썩기 때문에 처음에는 병든 줄기가 시들기 시작하여 나중에는 포기 전체가 말라 죽는다. 발생생태 1월에 촉성재배 시설하우스에서 발병했고, 20~ 30%의 발병주율로 심하게 발생했다. 병원균은 토양 속에 장기간 생존이 가능한 토양 서식균으로 균핵이나 후막화된 균사로 월동하여 이듬해의 전염원이 된다. 무성세대에 분생포자를 만들지 않기 때문에 2차 전염은 균사나 균핵의 이동으로 전염된다. 시설재배에서 기온이 높거나 배수가 나쁜 환경에서 발생하기 쉽다. 방제 방법 • 발병 초기에 병든 포기는 일찍 제거한다. • 병에 걸렸던 곳은 피하거나 토양을 소독한 후 재배한다. • 배수를 좋게 하거나 배수가 잘 되는 토양에 재배한다. • 등록된 전용 약제는 없다. 다음 호에서는 <산마늘 균핵병>에 대해 연재한다. * 이 기사는 <팜앤마켓매거진 2024년 6월호>에서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시설재배 토마토에서 피해를 일으키는 주요 식물바이러스병 정보를 제공하고 피해를 줄이기 위한 관리 방법을 소개했다. 토마토는 국내 과채류 생산액의 15.9%를 차지하며, 1인당 연간 소비량이 7kg에 달하는 주요 채소 작물이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15종의 토마토 바이러스가 보고돼 있다. 지난해 농촌진흥청이 정부 혁신 연구개발과제로 추진한 농작물 바이러스병 전국 조사 결과, 대표적인 토마토 바이러스인 토마토황화잎말림바이러스가 전체 토마토 농가의 14%에서 검출됐다. 토마토황화잎말림바이러스(TYLCV), 토마토퇴록바이러스(ToCV)= 담배가루이와 온실가루이로 전염되며, 단순 접촉으로는 전염되지 않는다. 토마토황화잎말림바이러스에 감염되면 길게 자라지 못하고 새로 돋는 어린잎이 노랗고 쭈글쭈글해진다. 토마토퇴록바이러스에 걸리면 아래쪽 늙은 잎부터 노랗게 변해 광합성을 못 하므로 열매 크기와 개수가 줄어든다. 토마토 재배시설 내부 온도는 연중 20~30도(℃)로 유지되기 때문에 재배하는 내내 가루이가 발생할 수 있다. 가루이가 좋아하는 노란색 끈끈이 덫(트랩)을 설치하고 살충제에 죽지 않는 유충이 성충이 될 때까지 한 달 이상 약제 처리한다.
초기 병징 과점을 중심으로 갈변된 병반부가 점점 확대되면서 둥근 테두리를 형성한다. 중기 병징 9월경 병반이 확대되면 둥근 띠 모양으로 테가 생긴다. 병반의 겉표면은 움푹 들어가지 않고 과실의 모양을 그대로 유지한다. 이 병과를 자른 단면은 불규칙한 모양으로 썩었다. 후기 병징 10월경 병반이 확대되면 둥근 띠 모양으로 테가 생긴다. 다음 호에서는 <겹무늬썩음병 3>에 대해 연재한다. *이 기사는 <팜&켓매거진 2024년 5월호>에서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