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1 (화)

  • 맑음동두천 17.1℃
  • 맑음강릉 16.5℃
  • 맑음서울 16.8℃
  • 맑음대전 18.2℃
  • 맑음대구 16.8℃
  • 맑음울산 13.0℃
  • 구름조금광주 17.9℃
  • 구름조금부산 15.0℃
  • 맑음고창 14.2℃
  • 구름조금제주 14.4℃
  • 맑음강화 12.9℃
  • 맑음보은 16.7℃
  • 맑음금산 16.7℃
  • 맑음강진군 17.2℃
  • 맑음경주시 15.6℃
  • 구름조금거제 14.2℃
기상청 제공

병해충 방제 & 잡초

1) 증상

구리Cu 결핍은 신생엽에서 나타나며 묘의 녹색이 점차 엷어지고, 잎 전체의 황화현상으로 변한다. 구리Cu 결핍 초기에 잎의 녹색이 점차 엷어진다. 점차 잎 중앙부가 표백된 것 같은 증상을 보이며 엽맥과 엽신은 푸르른 상태로 남아 있다.

성숙한 잎에서 엽신이 표백 처리한 것처럼 탈색되나, 잎 가장자리와 엽맥이 푸르른 상태로 남아 있다. 구리Cu가 결핍된 상태에서도 노엽은 짙은 녹색을 띤다.

 

2) 구리 결핍 원인

① ‌구리Cu를 함유하지 않거나 구리Cu 함유량이 낮은 비료를 지속적으로 시비할 경우(예, 질산칼슘+질산칼륨).

② ‌관개용수의 구리 농도가 매우 낮을 경우.

③ ‌상토 pH가 7.4 이상으로 높아지면 토양 구리Cu의 가용성이 감소하여 식물 흡수량이 적어진다.

④ ‌상토의 철Fe, 망간Mn 또는 아연Zn 농도가 높아지면 구리의 흡수가 억제된다.

⑤ ‌상토의 Mo 농도가 높아지면 구리Cu 흡수가 억제된다.

 

*이 기사는 <팜앤마켓매거진 2022년 5월호>에 게재된 내용의 일부입니다.

 

 

저작권자(C) 팜앤마켓. 무단전재 재배포금지

관련기사





포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