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4 (금)

  • 맑음동두천 6.3℃
  • 맑음강릉 5.9℃
  • 맑음서울 7.8℃
  • 구름조금대전 8.9℃
  • 맑음대구 7.5℃
  • 맑음울산 6.2℃
  • 맑음광주 8.5℃
  • 맑음부산 7.9℃
  • 맑음고창 5.5℃
  • 맑음제주 7.4℃
  • 맑음강화 3.9℃
  • 맑음보은 6.8℃
  • 구름조금금산 8.0℃
  • 맑음강진군 5.7℃
  • 맑음경주시 4.0℃
  • 맑음거제 8.7℃
기상청 제공

전문가 코너

"망간 함량이 과잉되면 식물체 지상부의 빈약한 생장과 하위엽 가장자리의 갈변 원인이 된다.

하위엽 가장자리의 갈변 현상이 하위엽 내부로 점차 확산된다. 점차 상위엽으로 증상이 확산된다."

Mn 함량이 높은 비료로 경엽 또는 관주처리한다. 기비를 혼합하는 과정에서 미량원소복합제의 처리량이 너무 많을 때 발생한다. 또한 관개용수에 Mn이 고농도로 존재할 경우, 근권부의 pH가 낮아지면 Mn의 가용성이 증가한다.

근권부의 증기소독법은 Mn 가용성을 증가시킨다. 또한 근권부의 P 농도가 높아지면 Mn 흡수가 촉진된다.

 

*이 기사는 <팜앤마켓매거진 2022년 3월호>에서 딸기 망간 과잉에 대해 교정시비 방법 등을 게재된 내용 중 일부니다.

저작권자(C) 팜앤마켓. 무단전재 재배포금지

관련기사





포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