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1.18 (월)

  • 맑음동두천 10.9℃
  • 구름많음강릉 16.0℃
  • 맑음서울 14.0℃
  • 맑음대전 13.2℃
  • 맑음대구 13.6℃
  • 구름많음울산 17.4℃
  • 맑음광주 14.1℃
  • 맑음부산 19.2℃
  • 맑음고창 11.3℃
  • 맑음제주 19.9℃
  • 맑음강화 12.4℃
  • 맑음보은 11.3℃
  • 구름조금금산 7.5℃
  • 맑음강진군 15.9℃
  • 구름조금경주시 14.7℃
  • 맑음거제 17.0℃
기상청 제공

트렌드& 마켓

당근 재배법

눈건강, 항암효과. 다이어트, 치아건강

carrot

당근(Daucus carota L.)의 학명 중 Daucus는 희랍어에서 유래된 말로 종자를 먹으면 몸이 훈훈해진다는 데서 유래됐다. 영어의 carrot는 겔트(Gelt)어의 celtic에서 유래된 것인데 당근의 색깔이 붉다는 뜻이다. 당근의 야생종은 유럽ㆍ아프리카 및 중앙아시아에 걸쳐서 널리 분포되고 있으나, 원산지는 아프가니스탄(Afghanistan)의 힌두쿠시(Hindukush) 산록이라는 설이 지지받고 있다.

당근의 유럽으로의 전파는 이란-바빌로니아-나바데아를 거쳐 전파됐는데 터키의 애나토울리아 남서지역을 유럽계 품종의 발상지라고 생각된다. 중국에는 원나라(1280∼1367) 초기에 중앙아시아로부터 중국 화남을 거쳐서 화북지방에 도입되어 화주 및 복주에 이르는 지방과 기타 고원지대에서 재배가 시작되면서 각각 생태형을 달리 하는 오늘날의 유럽계 당근과 동양계 당근으로 발전하게 됐다.

우리나라에서는 재배역사가 짧은 비교적 새로운 채소로서 도입시대와 경로가 분명하지 않으나 1900년대 초에 재배된 기록이 있고, 1907년 도입 외국품종의 재배 기록이 있다.


생리적 특성

당근은 산형화과에 속하는 2년생 채소로서 뿌리를 식용으로 이용한다. 당근 잎은 뿌리에서 생기고 추대 후는 줄기에 착생한다. 잎은 아주 짧은 줄기에 다수의 우상복엽상으로 분열하고 복엽의 크기는 품종의 특징이 있으며 폭이 넓고 짧은 것, 세장한 것 등이 있다. 또 품종에 따라서 잎에 안토시아닌이 착생하는 품종도 있어 품종의 분류기준이 되기도 한다.

당근의 뿌리는 넓고 깊게 분포하는데, 발아 후 60∼90일경이 뿌리 발달의 최성기로서 이때 뿌리는 폭 1∼1.5m, 깊이 1.3∼1.8m에 이른다. 그리고 굵은 뿌리(주근)는 발아 30일 후부터 비대하기 시작하여 70일후가 되면 비대가 최성기에 달한다. 지하부는 파종 후 40∼50일경에 세포분열에 의해 길이가 정해지고 세포 비대에 의해 뿌리의 길이와 중량이 110일경까지는 증가하고 그 후에는 속도가 완만해진다. 뿌리 빛깔은 처음에는 황백색이나 뿌리의 비대가 점차로 착색이 진전되어 당근 본래의 빛깔이 된다. 빛깔은 홍색, 선홍색, 등홍색, 갈색 등으로 나타난다.

종자 발아 적온은 15∼25℃이며 35℃ 이상에서는 발아하지 않는다. 지상부 생육적온은 18∼21℃이고 28℃ 이상에서는 생육하지 않는다. 지상부 생육은 지상부의 적온보다 다소 낮은 온도에서 생육이 잘되고 근중 증가의 적온은 20℃이며 이 온도보다 높으면 뿌리가 굵어지지 않을 뿐 아니라 뿌리의 형태가 흐트러지고 표피가 거칠게 된다. 카로틴의 생성은 16∼21℃에서 가장 잘 발현하는데 생육적온 보다 낮은 12℃이하의 저온에서는 착색이 저해된다. 7℃이하에서 생육한 다음 그 후 온도가 높아지면 착색이 되지 않는다. 뿌리의 착색은 발아 후 70∼100일경에 피크이며 그 후는 일정의 함유율이 된다. 저온기에서는 착생이 불량하고 특히 밤낮이 다 같이 저온에서 자라면 불량하다. 당근은 여러 가지 토양에서 재배가 되나 비옥한 사질양토가 가장 좋다.

뿌리의 착색정도를 보면 토양별로는 사질토에서, 그리고 이랑높이별로는 높은 이랑에서 보다 잘 되며 수분공급이 불규칙적일 때 뿌리의 표면이 거칠게 된다. 토양반응에 대한 적응성은 그 범위가 넓어서 pH 5.3∼7.0의 범위에서 생육할 수 있으나 최적은 pH 6.0∼6.6이다.

당근의 붉거나 노란 색소는 카로틴이며 이 카로틴은 우리 체내에서 비타민 A로 변하기 때문에 프로비타민A라고 부른다. 비타민 A는 물에 녹지 않고 기름에 녹으며 가열해도 분해되지 않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기름으로 복아 먹어야 흡수가 잘 된다. 좋은 당근은 카로틴함량이 높아 근색이 진하고, 심도 빨갛고 가늘며, 근피는 매끄러워서 요리하기 쉬운 것이다. 당근 잎에도 영양이 풍부하므로 당근 식물체는 동서양 할 것 없이 소나 말 등의 사료로 이용되고 있다.


충실한 당근 재배법

당근은 종자가 작아 1개씩 파종하는 것은 발아하기도 어렵기 때문에 줄뿌림 또는 점뿌림을 실시한다. 파종 전 토양준비는 300평당 퇴비 2,000㎏, 복합비료(21-17-21) 60㎏, 석회 100㎏을 기준으로 토양 상태에 따라 시비량을 가감한다. 파종하기 위해 최소한 20cm 이상 심경하고 이랑은 높게 만들수록 좋다. 이랑 높이가 낮으면 뿌리가 뻗을 수 있는 토심이 얕아 길고 충실한 당근을 얻기가 어렵다. 파종방법은 두둑 90cm, 이랑 30cm에 4줄 파종을 기준으로 포장 상태에 따라 적용할 수 있다. 종자 준비는 300평당 1∼2ℓ을 준비하고, 줄뿌림 하거나 점뿌림을 한다. 점뿌림을 할 경우 8∼12cm 간격으로 3∼5립을 파종한다. 복토는 보통 0.5∼1.5cm 가 적당하다. 토양수분이 적당하거나 점질토양에서는 5mm, 건조한 토양에서는 1∼1.5㎝ 정도 복토하는 것이 좋다. 복토를 너무 두텁게 해 주면 발아하는데 오랜 시간이 필요하며, 배축의 길이가 길어지므로 인해서 병원균의 침입이 용이하고 생육도 불균일해 진다. 파종 후 복토가 얕을수록 배축의 길이는 짧은데 지나치게 얕으면 생육초기 비바람에 쓰러지기 쉽고 2차적인 병해충의 피해를 받기도 한다. 이상적인 복토 방법은 진압을 해도 토양이 잘 굳어지지 않고 부드러우며 저항이 적고 비가 내렸을 때도 잘 굳어지지 않을 정도로 복토한다.

파종 후에는 관수를 하여 발아가 일시에 되도록 한다. 솎음 작업은 대개 1∼2회로 나누어 솎아준다. 1회 솎음은 주간거리 3cm 정도로 본엽이 3∼4매일 때 행하며, 2회 솎음은 본엽 5∼6매시 실시하며, 1회로 마칠 경우에는 본엽 5∼6엽기에 행한다. 솎음 작업 시 생육이 극히 왕성하거나 불량한 것, 잎색이 다른 것, 병해충의 피해를 입은 것 등을 속아내는 것이 좋다. 포기당 150∼200g을 목표로 할 때 최종 주간 간격은 품종에 따라 다르나 충분한 근 특성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8∼15cm로 한다. 솎은 작업시기가 늦으면 경엽은 도장하고 솎을 때 경엽이나 근의 손상이 크게 될 뿐 아니라 그 후 생육이 현저하게 늦다. 그러나 너무 빨리 강한 솎음을 하면 생육이 억제되고 늦게 하면 옆 포기의 뿌리가 상하기 쉽다.

당근은 초기생육이 느리기 때문에 유묘기에 잡초가 번성하여 생육장해를 일으키기 쉽다. 그러나 제초제에 대한 약해가 일어나기 쉬우므로 파종 후 또는 생육 초기에 당근의 선택성 제초제1를 살포한다. 제초제는 종류 및 사용방법에 따라 다르나 파종 복토 후 2∼3일 이내에 사용하며 사용량, 사용시기, 토양종류, 기후조건, 사용가능 작물을 고려해야 한다.

시비는 크게 기비와 추비로 나눌 수 있는데 인산질 비료는 전량을 기비로 주고, 질소 및 칼리질 비료는 전량의 1/2∼1/3을 기비로 주고 나머지는 3회 정도 추비로 준다. 300평에 필요로 하는 비료의 성분량을 보면 질소 24kg, 인산 20kg, 칼리 24kg을 표준으로 한다. 비료는 파종 70일 이후 최대로 흡수하므로 파종 후 35∼45일경에 1회 추비하고, 50∼55일경 2회 추비, 3회 추비는 60∼70일경에 실시한다. 수확기가 늦어지면 뿌리표면이 거칠어지고 갈라져 상품가치가 크게 떨어진다. 따라서 적기에 수확을 해야 특성평가를 정확하게 할 수 있다. 파종 후 생육일수를 기준으로 하여 조생종은 70∼80일, 중생종은 90∼100일, 만생종은 120일 정도에 수확하며 외관상으로 바깥 잎이 지면에 닿을 정도로 늘어지는 시기를 수확기로 판정하면 된다.

대가 점차로 착색이 진전되어 당근 본래의 빛깔이 된다. 빛깔은 홍색, 선홍색, 등홍색, 갈색 등으로 나타난다.

종자 발아 적온은 15∼25℃이며 35℃ 이상에서는 발아하지 않는다. 지상부 생육적온은 18∼21℃이고 28℃ 이상에서는 생육하지 않는다. 지상부 생육은 지상부의 적온보다 다소 낮은 온도에서 생육이 잘되고 근중 증가의 적온은 20℃이며 이 온도보다 높으면 뿌리가 굵어지지 않을 뿐 아니라 뿌리의 형태가 흐트러지고 표피가 거칠게 된다. 카로틴의 생성은 16∼21℃에서 가장 잘 발현하는데 생육적온 보다 낮은 12℃이하의 저온에서는 착색이 저해된다. 7℃이하에서 생육한 다음 그 후 온도가 높아지면 착색이 되지 않는다. 뿌리의 착색은 발아 후 70∼100일경에 피크이며 그 후는 일정의 함유율이 된다. 저온기에서는 착생이 불량하고 특히 밤낮이 다 같이 저온에서 자라면 불량하다. 당근은 여러 가지 토양에서 재배가 되나 비옥한 사질양토가 가장 좋다.

뿌리의 착색정도를 보면 토양별로는 사질토에서, 그리고 이랑높이별로는 높은 이랑에서 보다 잘 되며 수분공급이 불규칙적일 때 뿌리의 표면이 거칠게 된다. 토양반응에 대한 적응성은 그 범위가 넓어서 pH 5.3∼7.0의 범위에서 생육할 수 있으나 최적은 pH 6.0∼6.6이다.

당근의 붉거나 노란 색소는 카로틴이며 이 카로틴은 우리 체내에서 비타민 A로 변하기 때문에 프로비타민A라고 부른다. 비타민 A는 물에 녹지 않고 기름에 녹으며 가열해도 분해되지 않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기름으로 복아 먹어야 흡수가 잘 된다. 좋은 당근은 카로틴함량이 높아 근색이 진하고, 심도 빨갛고 가늘며, 근피는 매끄러워서 요리하기 쉬운 것이다. 당근 잎에도 영양이 풍부하므로 당근 식물체는 동서양 할 것 없이 소나 말 등의 사료로 이용되고 있다.

충실한 당근 재배법

당근은 종자가 작아 1개씩 파종하는 것은 발아하기도 어렵기 때문에 줄뿌림 또는 점뿌림을 실시한다. 파종 전 토양준비는 300평당 퇴비 2,000㎏, 복합비료(21-17-21) 60㎏, 석회 100㎏을 기준으로 토양 상태에 따라 시비량을 가감한다. 파종하기 위해 최소한 20cm 이상 심경하고 이랑은 높게 만들수록 좋다. 이랑 높이가 낮으면 뿌리가 뻗을 수 있는 토심이 얕아 길고 충실한 당근을 얻기가 어렵다. 파종방법은 두둑 90cm, 이랑 30cm에 4줄 파종을 기준으로 포장 상태에 따라 적용할 수 있다. 종자 준비는 300평당 1∼2ℓ을 준비하고, 줄뿌림 하거나 점뿌림을 한다. 점뿌림을 할 경우 8∼12cm 간격으로 3∼5립을 파종한다. 복토는 보통 0.5∼1.5cm 가 적당하다. 토양수분이 적당하거나 점질토양에서는 5mm, 건조한 토양에서는 1∼1.5㎝ 정도 복토하는 것이 좋다. 복토를 너무 두텁게 해 주면 발아하는데 오랜 시간이 필요하며, 배축의 길이가 길어지므로 인해서 병원균의 침입이 용이하고 생육도 불균일해 진다. 파종 후 복토가 얕을수록 배축의 길이는 짧은데 지나치게 얕으면 생육초기 비바람에 쓰러지기 쉽고 2차적인 병해충의 피해를 받기도 한다. 이상적인 복토 방법은 진압을 해도 토양이 잘 굳어지지 않고 부드러우며 저항이 적고 비가 내렸을 때도 잘 굳어지지 않을 정도로 복토한다.


파종 후에는 관수를 하여 발아가 일시에 되도록 한다. 솎음 작업은 대개 1∼2회로 나누어 솎아준다. 1회 솎음은 주간거리 3cm 정도로 본엽이 3∼4매일 때 행하며, 2회 솎음은 본엽 5∼6매시 실시하며, 1회로 마칠 경우에는 본엽 5∼6엽기에 행한다. 솎음 작업 시 생육이 극히 왕성하거나 불량한 것, 잎색이 다른 것, 병해충의 피해를 입은 것 등을 속아내는 것이 좋다. 포기당 150∼200g을 목표로 할 때 최종 주간 간격은 품종에 따라 다르나 충분한 근 특성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8∼15cm로 한다. 솎은 작업시기가 늦으면 경엽은 도장하고 솎을 때 경엽이나 근의 손상이 크게 될 뿐 아니라 그 후 생육이 현저하게 늦다. 그러나 너무 빨리 강한 솎음을 하면 생육이 억제되고 늦게 하면 옆 포기의 뿌리가 상하기 쉽다.

당근은 초기생육이 느리기 때문에 유묘기에 잡초가 번성하여 생육장해를 일으키기 쉽다. 그러나 제초제에 대한 약해가 일어나기 쉬우므로 파종 후 또는 생육 초기에 당근의 선택성 제초제1를 살포한다. 제초제는 종류 및 사용방법에 따라 다르나 파종 복토 후 2∼3일 이내에 사용하며 사용량, 사용시기, 토양종류, 기후조건, 사용가능 작물을 고려해야 한다.

시비는 크게 기비와 추비로 나눌 수 있는데 인산질 비료는 전량을 기비로 주고, 질소 및 칼리질 비료는 전량의 1/2∼1/3을 기비로 주고 나머지는 3회 정도 추비로 준다. 300평에 필요로 하는 비료의 성분량을 보면 질소 24kg, 인산 20kg, 칼리 24kg을 표준으로 한다. 비료는 파종 70일 이후 최대로 흡수하므로 파종 후 35∼45일경에 1회 추비하고, 50∼55일경 2회 추비, 3회 추비는 60∼70일경에 실시한다. 수확기가 늦어지면 뿌리표면이 거칠어지고 갈라져 상품가치가 크게 떨어진다. 따라서 적기에 수확을 해야 특성평가를 정확하게 할 수 있다. 파종 후 생육일수를 기준으로 하여 조생종은 70∼80일, 중생종은 90∼100일, 만생종은 120일 정도에 수확하며 외관상으로 바깥 잎이 지면에 닿을 정도로 늘어지는 시기를 수확기로 판정하면 된다

저작권자(C) 팜앤마켓. 무단전재 재배포금지

관련기사





포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