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4 (금)

  • 맑음동두천 2.8℃
  • 구름조금강릉 5.0℃
  • 박무서울 6.2℃
  • 대전 7.2℃
  • 구름조금대구 4.2℃
  • 맑음울산 3.5℃
  • 박무광주 6.2℃
  • 맑음부산 6.6℃
  • 맑음고창 1.2℃
  • 구름많음제주 6.9℃
  • 맑음강화 3.4℃
  • 구름많음보은 3.0℃
  • 흐림금산 7.0℃
  • 맑음강진군 2.5℃
  • 맑음경주시 0.9℃
  • 맑음거제 4.8℃
기상청 제공

병해충 방제 & 잡초

<잡초이야기31>우리나라 최초 제초제 저항성 논잡초 '물옥잠'

물옥잠Monochoria korsakowii는 물옥잠과 한해살이풀이다. 중국, 일본, 러시아 등에 분포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전국에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평야지대보다는 충남 동부, 충북 등 상대적으로 고도가 높은 지역에서 더 쉽게 볼 수 있다. 

 

 

8~9월에 잎자루에서 꽃대가 잎 위까지 올라온다. 길게 올라오는 것은 벼 이삭 높이인 약 8~90 cm까지 올라온다. 물달개비와 꽃의 색깔이 매우 비슷하지만, 물옥잠 꽃 크기가 더 크다. 

열매는 물달개비와 같이 익으면 아래로 쳐지며, 물에 닿으면 터지면서 씨앗을 퍼뜨린다.

 

 

물달개비보다 잎이 넓고, 뿌리가 넓게 퍼지며, 위로 자라는 성향이 강해서 벼에 주는 피해가 물달개비보다 더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논에 가득 찬 물옥잠은 벼 위로 올라와 눈에 띄기 때문에, 예쁜 꽃을 가진 식물이라는 인식보다 벼에 피해를 주는 잡초임을 먼저 느끼게 한다.

 

* 이 기사는 <팜앤마켓매거진 2022년 7월호>에 게재된 내용의 일부입니다.

 

저작권자(C) 팜앤마켓. 무단전재 재배포금지

관련기사





포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