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2.27 (금)

  • 맑음동두천 -9.2℃
  • 맑음강릉 -3.3℃
  • 맑음서울 -5.0℃
  • 구름많음대전 -4.4℃
  • 맑음대구 -1.6℃
  • 맑음울산 -1.7℃
  • 흐림광주 1.3℃
  • 맑음부산 -0.5℃
  • 흐림고창 -1.2℃
  • 흐림제주 6.3℃
  • 맑음강화 -5.5℃
  • 구름많음보은 -4.4℃
  • 흐림금산 -2.4℃
  • 구름많음강진군 3.3℃
  • 맑음경주시 -2.0℃
  • 맑음거제 1.1℃
기상청 제공

기획/탐방

농촌진흥청 과수화상병 피해 최소화에 전력투구

매몰중심 방제에서 사전예방 방제 전환
우려과원 및 관리과원 집중 예찰 추진

화상병 급속 확산 완화와 농가 피해 최소화
 

2015년 국내 첫 과수화상병 발생 이후 주변으로 확산됐다. 2020년도에는 크게 확산됐고, 2021년부터 발생추세가 꺾였으나, 올해도 여전히 발생했다.

 

 

농촌진흥청은 2022년부터 매몰중심의 방제에서 사전예방 중심으로 전환했다. 화상병 증상 조기 발견에 중점을 두고 효율적인 예찰·진단으로 초기 확산 방지를 위해 노력했다.

 

특히 궤양 제거, 농작업 소독, 교육 및 홍보를 위해 과수화상병 사전예방 특별대책기간을 지난해 12월 27일부터 올해 3월 1일까지 수립하고 농식품부, 농림축산검역본부, 종자원, 각 도농업기술원 및 시군농업기술센터와 합동으로 대응했다.

 

 

우선 세균병 등의 오염원인 궤양 제거를 1월부터 3월까지 전국 사과·배 과원 64,105호에 대해 농가에서 자율적으로 사과·배 과원관리 매뉴얼에 따라 실시했다. 각 도원 및 시군농업기술센터와 합동으로 궤양 제거에 대한 확인 및 미흡한 점을 점검했다.

 

궤양 제거 내실화를 위해 전체 농가의 50% 이상 육안으로 점검했고, 화상병 사전예방 교육을 지방 농촌지도공무원 2,442명과 농업인 25,457명에 실시했다. 사전예방 특별 대책 기간에는 농진청에서는 TV 12건, 라디오 1건, 신문 124건, 주간지 2건, 뉴스포털 4회를 홍보했다.각 도농업기술원 및 시군농업기술센터에서 현수막 게첨은 1,629(궤양제거 901건), 디지털 홍보(카드뉴스, 페이스북 등) 1,152건, 리플릿 119,343건, 언론보도 711건, 전화·문자 184,775건을 추진했다.

 

농작업이나 곤충, 비, 바람 등에 의한 전염 예방을 위해 실시하는 약제 방제를 전년에는 미발생지역 1회 발생지역은 3회 실시했지만, 올해는 확대하여 전 시군에서 3회 이상 방제하도록 했다. 기상관측 정보에 근거하여 각 지역별 꽃 감염 위험도를 예측하고 위험도가 높은 시기에 약제살포 및 살포 횟수 확대로 효과성을 높였다.

 

약제는 지역에 맞는 약제 살포를 위해 시군단위로 약제를 선정토록 했다. 사과·배 재배 전 농가에게 배부하고 지역별 같은 기간 살포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지역별 기상이나 지형별로 미세기상정보를 수집, 분석하여 과수화상병 감염 위험일을 예측하여 지역 농가의 최적 약제 방제 시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과수화상병 약제방제 예측시스템 고도화사업을 36시군 360개소 추진하고 있다.

 

약제 방제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농진청에서는 SBS, 연합TV, 경인방송, NBS 등에 홍보했다. 각 도농업기술원 및 시군농업기술센터에서는 현수막 1,255점, 카드뉴스 351회, 리플릿, 154,031점, 언론보도 1,170회, 전화·문자를 240,106회 추진했다.

 

또한, 사과, 배 생육기 이전 궤양 및 의심주 등 전염원을 최대한 제거하기 위해 지자체에서는 발생 우려과원 및 관리과원에 대해 집중 예찰을 추진했다. 농촌진흥청에서는 사과주산지인 경북, 충북, 충남을 대상으로 집중예찰하여 64개 과원(사과 18, 배 46)을 진단하여 사전 제거함으로써 주변 지역으로 확산을 막는데 기여했다.

 

과수화상병 다발생 지역 및 신규발생지역에서 예찰·신고 즉시 당일 현장 진단 및 전문예찰팀을 가동하여 발생초기에 병을 차단하기 위해 5월 1일부터 7월 31일까지 3개월간 과수화상병 예찰·방제 현장대응 집중기간을 운영하고 있다.

 

이 기간에는 사과·배 과원, 묘목장 등 전국 단위로 매월 정기 예찰을 실시하여 전염원을 사전 제거하고 신속한 공적방제를 추진한다. 중앙에서는 예찰의 효율적인 방향 설정 및 예찰 추진상황 점검을 추진하고 있다. 신규 발생지역 및 다발생 우려지역을 대상으로 전문예찰단을 10팀 40명으로 구성하여 집중예찰 및 현장방제 대응 체계 구축을 지원하고 있다.

 

또한, 발생지역 대상으로 당일 진단하여 방제명령까지 소요시간을 축소 시키기 위해 현장진단실을 수원 농업유전자원센터와 충주시농업기술센터 2곳에 설치했다. 중앙식물방제관 2명이 근무를 하면서 간이진단 또는 RT-PCR로 신속한 진단을 지원하고 있다.

 

경기, 강원 충남지역 의심시료는 수원 농업유전자원센터 현장진단실, 충북, 경북지역 의심시료는 충주시농업기술센터에 설치된 현장진단실, 신규 발생지역은 국립농업과학원에서 진단하고 있다.

 

농촌진흥청 재해대응과 노형일 과장은 “인력·장비·시설 등이 갖춰진 도별 거점대학이나 농업기술원을 진단기관으로 지정하도록 농진청 고시를 개정하고 상시 예찰을 위한 지역별 거점대학을 예찰조사기관으로 육성하여 예방·예찰 활동을 강화함으로써 병해충 관리체계 확립으로 화상병의 급속한 확산을 완화시켜 과수산업과 농가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이 기사는 <팜앤마켓매거진 2022년6월호>에 게재된 내용입니다.

저작권자(C) 팜앤마켓. 무단전재 재배포금지

관련기사





포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