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8 (목)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정책

귀농․귀촌 U턴형이 대세

자연환경, 정서적 여유, 농업의 비전 등 귀농 선택

농촌에서 태어나 도시생활 후 연고가 있는 농촌으로 이주(U턴형, 귀농 53.0%, 귀촌 37.4%)하는 경향이 가장 큰 것으로 조사됐다.


농촌에서 태어나 도시생활 후 연고가 없는 농촌으로 이주(J턴형, 귀농 19.2%, 귀촌 18.5%)하는 비중까지 포함하는 경우 농촌에 연고가 있거나 경험이 있는 사람이 다시 농촌으로 회귀하는 현상이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이개호, 이하 농식품부)는 12일 귀농․귀촌가구를 대상으로 귀농․귀촌 유형, 귀농․귀촌 이유, 소득, 주거형태, 경영여건, 지역융화 등을 포함하는 귀농․귀촌 실태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발표했다.
 본 조사는 귀농어․귀촌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9조에 근거하여 2016년에 이어 두 번째로 실시했고, 조사전문기관인 ㈜한국갤럽을 통해 최근 5년간(‘13~‘17년) 귀농․귀촌한 2,507 가구(귀농 1,257, 귀촌 1,250)를 대상으로 직접 방문 조사했다. 


 조사대상 2,507가구는 통계청에서 보유한 최근 5년(‘13~’17)간 귀농․귀촌한 161만 가구를 모집단으로 활용하여 지역, 이주 년도, 연령 등을 고려한 층화추출 방식으로 표본 추출했고, 표준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2.8%p 이다.


자연환경, 정서적 여유, 농업의 비전 등 대부분 자발적인 이유로 귀농․귀촌을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귀농의 경우, 자연환경이 좋아서(26.1%), 농업의 비전과 발전 가능성을 보고(17.9%), 도시생활의 회의(14.4%), 가족 등과 가까운 곳에서 살기 위해(10.4%), 본인․가족의 건강(10.4%), 실직이나 사업 실패(5.6%) 등으로 나타났다.


특히, 40세 미만 청년층은 농업의 비전과 발전가능성(29.0%), 가업을 승계하기 위해(18.6%) 도시생활의 회의(16.7%), 자연환경이 좋아서(10.2%) 순으로 나타났고, 중장년층은 자연환경이 좋아서(28.0%), 농업의 비전과 발전가능성(16.6%), 도시생활의 회의(14.1%), 본인이나 가족의 건강(10.8%) 순으로 나타났다.


 귀촌은 자연환경이 좋아서(20.4%), 가족 등과 가까이 살기 위해(16.4%), 정서적인 여유(13.8%), 도시생활 회의(13.6%), 본인․가족의 건강(11.9%), 실직이나 사업 실패(7.8%) 등으로 조사됐다.


 청년층은 가족 등과 가까이 살기 위해(22.5%), 정서적인 여유(14.7%), 자연환경이 좋아서(13.7%), 도시생활 회의(13.3%) 순으로 나타났고, 중장년층은 자연환경이 좋아서(25.8%), 본인이나 가족의 건강(14.9%), 도시생활 회의(13.9%), 정서적인 여유(13.1%) 순으로 나타났다.


귀농․귀촌 10가구중 6가구(귀농 60.5%, 귀촌 63.8%)가 귀농․귀촌 생활에 전반적으로 만족했으며, 3가구(32.5%, 33.0%)는 보통, 1가구(7.0%, 3.2%)는 불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만족으로 응답한 가구의 주요 불만족 이유로는 귀농은 자금부족(30.0%), 영농기술․경험부족(23.7%) 순으로 높았고, 귀촌은 영농기술․경험부족(53.0%), 자금부족(29.1%) 순으로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귀농 가구의 43.1%가 농업소득 부족 등의 이유로 농업외의 경제활동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귀촌 가구의 87.2%가 직장 취업, 자영업, 농업 등으로 경제활동을 수행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귀농․귀촌인들은 귀농․귀촌전에 자영업, 사무직, 생산․기능직 등 농업과 무관한 다양한 경력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귀농 가구의 농외 경제활동의 어려움으로 시간(22.9%)․능력(19.0)․정보(17.5)․자본(16.9) 부족을 꼽았고, 귀촌 가구는 경제활동의 어려움으로 정보(17.6%)․능력․(17.4)․지역내 인프라(15.7)․시간(11.8)․자본금(11.3) 부족 등으로 조사됐다.


 월 평균 생활비는 귀농가구 196만원, 귀촌가구 213만원이며 주로 식비, 주거·광열·수도·전기세, 교육비 순으로 지출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거주지역 선택 이유로는 부모․친척이 살고 있는 연고지(귀농 43.8%, 귀촌 32.8%)가 가장 높고, 이전에 살던 곳 근처(귀농 17.8%, 귀촌 11.2%), 자연환경 우수(귀농 8.4%, 귀촌 14.6%) 등으로 조사됐다. 


 거주 주택으로 농가주택을 포함한 단독주택(귀농 81.7%, 귀촌 59.6%)이 가장 많고, 아파트․연립주택(귀농 14.8%, 귀촌 37.6%) 순으로 조사됐다.


 초기 주택 점유는 자가(귀농 73.4%, 귀촌 57.6%), 전월세(귀농 17.1%, 귀촌 37.4%), 지원 정책 활용(마을내 빈집, 귀농인의 집 등 임시거주 : 귀농 5.9%, 귀촌 2.2%) 순으로 나타났다.



저작권자(C) 팜앤마켓. 무단전재 재배포금지

관련기사





포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