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 달 전 취재 현장에서 ‘소농이 없으면 농촌도 없다’는 군농업기술센터 과장님은 하우스 한 동의 소농이라도 소득을 창출할 수 있도록 지역내 소농 정책이 잘 되어 있다며 소농에 대한 고마운 이야기를 들려줬다.
농업기술센터의 과장은 “대농, 중농, 소농에 맞는 정책으로 농촌 경쟁력을 갖춰야 한다. 이것은 경쟁력 중심의 정책이 아니라 농업인이 중심이 되는 정책이어야 한다. 대농을 위한 정책이 있듯이 중농, 소농을 위한 정책이 분리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그는 “소농인들이 있기 때문에 농촌이 살아 움직이는 것이며, 토지가 유지되고 있다고 본다. 대농들은 규모가 크다 보니 젊은 층에 가깝지만 소농들은 연세가 많은 편이다. 과학적 시설이나 영농보다 경험적 농사를 짓기 때문에 그 시기에 맞는 필요한 교육을 실시하지만, 교육 요구도도 높다. 하우스 한 동의 농사를 짓는 소농은 고령농이거나 여성농업인이므로 우리 지역은 대농에서 소농까지 케어할 수 있는 방제단을 만드는 등 소농을 위한 정책이 잘 되어 있다”고 말했다.
“논이 없으면 밭에서라도, 100평, 200평에서 소농들이 소득을 창출할 수 있도록 농업기술센터에서는 타 지역에서 생산하지 않은 틈새작물을 발굴하여 끊임없이 지도하고 있습니다. 내가 농사를 조금 지어도 돈을 벌수 있도록 자긍심을 갖도록 농업기술센터는 상담과 지도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농업기술센터 과장은 “농업 위기가 닥쳤을 때 대농에 우리 목숨을 맡기게 되는 흔들리는 농업이 되지 않기 위해서는 소농이 흩어져 있어도 많아야 한다. 포기해서는 안 되며 소농을 배려하는 정책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지난 9월 취임한 김현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취임사를 통해
“우리 농업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중소농을 대상으로 한 정책이 부족했다는 아쉬움도 있다. 중소농과 규모화된 농가가 여건에 맞게 성장할 수 있도록 품목별․유형별로 농업 정책의 체계를 바꿔가겠다. 중소농이 생산한 농산물이 그 지역의 소비자에게 직접 연결되는 선순환 구조를 확산하여 농촌 공동체를 살리고, 지역 경제의 자생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하겠다.”라고 밝혔다.
김현수 장관의 “농정의 기본 축을 사람 중심으로 전환하고, 농업의 사회적 역할을 확장하겠다”는 정책을 기대해 본다.
<팜&마켓매거진 10월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