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깨는 식물분류학상 꿀풀과脣形科, Laviatae에 속하는 1년생 초본으로 동부아시아 지역이 원산지로 인도, 한국 및 중국 동북부 지역에서 예로부터 재배되어 온 기름작물이다. 우리나라 최초의 농서인 농사직설農事直說, 1429에서는 이미 들깨를 유마油麻, 수임자水荏子로 기록하였으며 그 후 농가집성農家集成, 1665, 색경穡經, 1676, 해동농서海東農書, 1798~1799,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 1842~1845 등에는 임荏으로, 산림경제山林經濟, 1766, 농가요결農家要訣, 1700, 후생록厚生錄, 1767 등에서는 수소마水蘇麻로 기록되어 있으며 재배법은 후대로 내려올수록 다소 추가되어 상세히 기록하고 있다. 임원경제지1842~1845에서는 소계임蘇桂荏, 수소마 등 들깨 품종도 나타나고 있다. 들깨의 명칭은 고어로 깨(ㅂㅅ개)이었는데 이보다 늦게 전래된 참깨로 인하여 들野자가 들어간 것으로 보고 있다. 들깨는 쓰임새도 다양하여 식용 기름, 등화용 이외에 잎에서 나는 독특한 냄새를 가축들이 싫어하여 농작물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을 밭 둘레에 심거나 기상재해로 소득 작물 재배가 어려울 때 대파작물代播作物로 이용됐다. 색경에는 임료荏蓼 또는 소자蘇子로서 차조기를 설
수확할 때의 화뢰 크기는 생육정도에 따라 결정되며 화아분화가 이루어진 후 잎 수의 증가가 없어 출뢰 이전에 생육을 충분히 시켜야 한다. 즉, 육묘기의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최근에는 생력화가 요구되면서 플러그 트레이를 이용한 육묘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플러그 트레이 육묘 시 상토의 양이 제한되기 때문에 비료성분이 있는 원예용 전용상토를 이용한다. 모가 노화되거나 뿌리 부분이 지나치게 감겼을 때에는 정식 후 활착이 나빠질 우려가 있으므로 적기에 정식하도록 한다. 플러그 트레이에 종자를 한 알씩 파종하고 씨앗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복토를 실시한다. ○ 육묘 온도 겨울 파종 : 파종 후 25~28℃→ 싹튼 후 20~25℃→ 본엽 3~4매부터 13~15℃. 여름 파종 : 차광막 등을 설치하여 온도를 최대한 낮춤. ○ 파종 방법 128공 트레이 육묘(시판 상토 이용), 10a당 45트레이/128공. ○ 육묘 기간 겨울 파종 : 50일 내외. 여름 파종 : 30~35일(본엽 3~4매). 육묘 기간 동안 물 주기는 매우 중요하다. 겨울과 봄 파종의 경우 상토 표면이 건조할 경우 관수를 한다. 여름파종의 경우 1일 1회를 기준으로 오전에 관수를 하도록 하고, 만약 낮에 온
쌈채용은 잎 길이와 너비가 11cm 내외이며 잎자루가 달린 채로 15cm 정도 길이로 수확한다. 이후 즉시 0∼2℃에서 수확량에 따라 0.5∼3시간 예냉하여 고추냉이의 품온을 떨어뜨린다. 잎과 줄기는 품질에 따라 쌈채용, 장아찌용(절임용), 가공용(분말제조용), 사료용(돼지)으로 구분하고 포장은 택배 또는 포장 용량에 따라 골판지 박스나 아이스박스에 담아 출하한다. 출하 시 고추냉이 잎을 0.05mm PE 필름(Polyethylene film)이나 방담필름(Antifogging film)으로 속포장 했을 때 감모율은 상온 무포장이 저장 8일간 48.6%, 상온 PE 포장은 저장 8일간 0.6%, 저온 무포장이 저장 10일간 12.1%, 저온 PE 포장은 저장 20일 동안 0.6%였다. 필름에 의한 선도유지는 잎 길이를 10cm 정도로 수확하여 5℃에서 0.05mm PE 필름이나 방담필름으로 소포장하여 유통하면 15일간 가능하였다. 소규모 출하는 1∼2kg 골판지상자에 비닐을 깔고 잎을 넣어 출하하거나 고급형 출하는 4∼8kg 스티로폼 박스에 얼음과 함께 넣어 출하한다. 사진출처 : 강원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 다음 호에서는 <고추냉이의 이용>에 대해
국내의 브로콜리 재배작형은 재배지역의 온도조건에 따라 파종 및 출하 시기가 나눠진다. 제주지역은 10월 하순부터 이듬해 3월까지 생산하는 가을, 겨울재배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강원도는 7월부터 10월까지 생산출하가 이루어지고, 충북, 충남, 전남지역은 4~6월 생산하는 봄재배와 9월부터 11월까지 생산하는 가을재배가 주를 이루고 있다. 제주지역에서는 겨울에 종자를 파종하여 봄에 수확하는 봄재배 작형이 일부 재배되고 여름에 종자를 파종하여 가을부터 겨울까지 수확하는 작형이 주로 재배되고 있다. 4~5월 생산작형 12~1월에 육묘하여, 2월 정식 후 4월 하순부터 5월까지 수확하는 작형이다. 보통 12월 하순부터 1월 상순 사이에 파종하여 가온 육묘를 할 경우 육묘일수는 50일 정도가 소요된다. 4월 하순 수확을 목표로 하였을 때는 2월 상순 정식하여 터널재배를 한다. 노지재배인 경우 2월 중하순 정식하면 5월 중순경 수확이 가능하다. 저온기에 육묘되므로 파종에서 정식까지의 기간 동안 모종이 한해를 받지 않도록 야간온도를 10℃이상 유지해 주어야 한다. 이보다 낮을 경우에는 생장점 부위에서 화아분화가 이루어져 조기출뢰Buttoning 현상이 생기기 쉽다. 정식
생체로 이용하는 뿌리줄기는 약 20g(7cm) 이상의 것을 수확하며 뿌리는 깨끗이 잘라낸다. 잎·줄기는 7∼8개 정도만 남기고 떼어낸다. 남긴 줄기를 자를 때에는 뿌리줄기가 작은 것은 3∼4cm, 큰 것은 약간 길게 자른다. 뿌리줄기의 저장은 보통 습기가 있는 상태로 하여 호흡이 가능한 조건하에서 냉장한다. 산소가 없는 혐기 상태에서 매운맛의 감소 정도가 가장 작기 때문에 진공포장을 하며, 진공포장할 때 탈산소제脫酸素劑를 넣거나 질소를 충전하는 방법을 쓰기도 한다. 뿌리줄기를 진공포장 상태로 0∼4℃에 저장하면 저장 2주가 경과하여도 무게 감소가 적고 내·외부 색택과 경도 변화를 최소화하며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반면, 뿌리줄기를 포장하지 않고 저장(습도 약 65%) 하면 초기부터 내부 수분이 빠져 쪼그라드는 것이 육안으로도 확인되었다. 무포장으로 냉장 저장할 경우에는 젖은 신문지, 티슈 등으로 뿌리줄기를 감싸 수분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 사진출처 : 강원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 다음 호에서는 <잎 수확>에 대해 연재한다. *이 기사는 팜앤마켓매거진 2025년 3월호에서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토양산도(pH) 조절 유의사항 • 토양산도(pH)가 낮은 곳은 석회질비료를 이용하여 조절. • 석회질비료의 시용량은 토양검정에 따라 적정량 시용. • 녹비 분해 촉진을 위하여 석회질비료를 이용하는 경우, 녹비를 포장에 절단 피복 후, 그 위에 석회를 살포하면서 경운하면 효과적. • 석회 과다 투입 등으로 토양산도(pH)가 적정수준 이상일 때는 미량원소 결핍과, 길항작용에 의한 칼륨과 마그네슘의 흡수장애 발생 우려. 풋거름작물을 이용한 토양관리 풋거름작물이란? 토양에 유기물을 공급하여 지력을 높이며, 화학비료를 대체 및 절감하기 위하여 식물의 줄기와 잎 등을 그대로 베어서 토양에 넣어주는 목적으로 재배하는 작물이다. 석회질비료 시용법 • 석회질 비료는 토양산도를 개선하여 토양 양분흡수 균형을 유지한다. 특히 유기재배에서는 토양병해를 경감하고, 유용미생물의 활성을 높이는 중요한 농자재. • 석회질 비료는 1회/3년을 원칙으로 하나, 토양검정 결과 부족할 경우 반드시 추가 시용하여 토양산도 조절. • 석회는 토양내에서 이동이 안 되기 때문에 시용 후 반드시 경운하여 토양 하층까지 투입되도록 하여야 함. • 생석회는 물에 젖으면 고열을 내고 소석회가
학명 : Heracleum moellendorffii Hance 증상 잎에 밀가루를 뿌려 놓은 듯한 흰가루가 생겨 잎 표면을 덮으며 오래되면 말라 죽는다. 병원체 : Erysiphe heraclei DC. 진균계 > 자낭균문 > 두건버섯강 > 흰가루병균목 > 흰가루병균과 > 흰가루병균속Erysiphe에 속한다. 자낭각의 지름은 80~96㎛, 자낭의 크기는 24 × 32~40㎛, 자낭포자는 4~5 × 6~8㎛이다. 무성세대에서는 분생자경의 끝에 연쇄상으로 생성되는 무색, 단포, 타원형의 분생포자를 만든다. 분생포자의 크기는 12~14 × 40~56㎛이다. 이 균은 순활물기생균으로 인공배지에서 자라지 않는다. 발생생태 6월에 발생하기 시작하여 10월까지 발생한다. 병원균은 병든 식물체의 잔재물에서 균사 혹은 자낭각의 형태로 겨울을 나고 이듬해에 전염원이 된다. 분생포자로 공기전염 한다. 이 병은 낮과 밤의 기온 차가 심한 봄, 가을에 발생이 많다. 방제 방법 • 병든 식물체의 잔재물을 제거한다. • 통풍과 투광이 잘 되도록 관리한다. • 배수를 좋게 하거나 배수가 잘 되는 토양에 재배한다. • 발병 초기에 등록약제 테부코나졸 유탁제, 메트라페논 액상수화제
알에서 갓 깨어난 애벌레가 초기에는 잎 속으로 굴을 파고 들어가 표피만 남기고 식해하다가 자라면서 잎 뒷면에서 엽육을 식해하여 군데군데 하얗게 된 표피를 남긴다. 심하면 구멍을 뚫고 점차 잎맥만 남기고 잎 전체를 식해하기도 한다. 고추냉이를 쌈채로 재배할 경우 약제방제가 곤란하기 때문에 밭재배 시 큰 문제가 되고 있다. 해충 나비목 집나방과에 속하며 학명은 Plutella xylostella이다. 배추좀나방은 겨울(12∼2월)의 월 평균기온이 0℃ 이상이 되는 지역에서 월동한다. 7℃ 이상의 온도에서 발육과 성장이 가능하여 우리나라의 남부 지방에서는 월동이 가능하다. 연간 발생 세대수는 따뜻한 지역인 제주도를 포함한 남부지방에서는 연중 10∼12세대, 중부 이북 지방은 8∼9세대가 된다. 발생량이 많은 늦은 봄과 초여름 사이에는 1세대가 20∼25일 정도로 대단히 빨라 포장 내에서는 알, 애벌레, 번데기, 어른벌레가 동시에 발생된다. 계절별 발생 추이 지역에 따라 다르나 남부지방에서는 봄에서 초여름까지 발생하여 최성기를 보이고, 여름에는 밀도가 현저히 줄어들어 가을까지 적게 발생한다. 고랭지 채소 재배지역에서는 평야지보다 1개월 정도 늦은 5월 하순∼6월 하
산지의 햇볕이 잘 안 드는 숲속, 산림의 나무 아래 나 그늘지고 축축한 곳에서 자생하는 늘 푸른 여러해살이풀이다. 몇 개가 모여서 나며, 털뿌리가 발달하지 않고 곰팡이류와 공생하여 영양을 얻는 균근식물이므로 옮겨 심기가 어렵다. 6~7월에는 꽃줄기가 약 10~20cm로 자라며 매화나무와 비슷한 희거나 붉은 꽃 또는 연황백색의 꽃이 밑을 향해서 핀다. 긴 암술대는 꽃잎 밖으로 벋는다. 꽃받침 조각은 넓은 피침형 또는 좁은 달걀형으로 끝이 둥글다. 동글동글한 삭과 열매는 9~10월에 열매가 열리는데 모서리가 5개로 갈라지면서 벌어진다. 노루발과 식물의 특징 중 하나는 소나무와 같은 침엽수 아래에서도 잘 자란다는 점이다. 일반적으로 소나무 아래에는 초본식물이 거의 자라지 못한다. 하지만 노루발풀과 매화노루발을 비롯한 다른 노루발과 식물들은 소나무 밑에서 주로 관찰된다. 이름의 유래에 대해서 겨울에 노루발풀만이 연한 초록색을 띠고 겨울에도 유일하게 살아남아 노루의 식량으로 남아서 ‘노루의 발밑에 풀’을 뜻하는 ‘노루발풀’이라고 전해진다. 또 다른 이름의 유래는 ‘하얀 눈 위에 찍은 노루의 발자국 같다’고 해서 ‘노루발’이라고 붙여졌다. 노루발풀의 다른 이름은 녹제초
다음 호에서는 <먹들이병(묵입병) 병징 및 방제방법>에 대해 연재한다. *이 기사는 <팜앤마켓매거진 2024년 10월호>에서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