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확할 때의 화뢰 크기는 생육정도에 따라 결정되며 화아분화가 이루어진 후 잎 수의 증가가 없어 출뢰 이전에 생육을 충분히 시켜야 한다. 즉, 육묘기의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최근에는 생력화가 요구되면서 플러그 트레이를 이용한 육묘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플러그 트레이 육묘 시 상토의 양이 제한되기 때문에 비료성분이 있는 원예용 전용상토를 이용한다.

모가 노화되거나 뿌리 부분이 지나치게 감겼을 때에는 정식 후 활착이 나빠질 우려가 있으므로 적기에 정식하도록 한다. 플러그 트레이에 종자를 한 알씩 파종하고 씨앗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복토를 실시한다.
○ 육묘 온도
겨울 파종 : 파종 후 25~28℃→ 싹튼 후 20~25℃→ 본엽 3~4매부터 13~15℃.
여름 파종 : 차광막 등을 설치하여 온도를 최대한 낮춤.
○ 파종 방법
128공 트레이 육묘(시판 상토 이용), 10a당 45트레이/128공.
○ 육묘 기간
겨울 파종 : 50일 내외.
여름 파종 : 30~35일(본엽 3~4매).
육묘 기간 동안 물 주기는 매우 중요하다. 겨울과 봄 파종의 경우 상토 표면이 건조할 경우 관수를 한다. 여름파종의 경우 1일 1회를 기준으로 오전에 관수를 하도록 하고, 만약 낮에 온도가 상승하고 건조하여 잎이 시들 경우에는 오후에도 관수를 하도록 한다.
오전에 관수를 하는 것이 오후에 관수를 하는 것보다 과습으로 인한 병해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배축이 신장하기 쉬우므로 약간 건조하게 관리하여 웃자라지 않도록 관리한다.
육묘 시 발생하기 쉬운 병해는 모잘록병과 노균병 등이다. 모잘록병 방제를 위해서는 살균된 상토를 사용하도록 하며 노균병 방제를 위해서는 통풍을 좋게 하고 과습하지 않도록 하고 영양결핍이 없도록 관리하며 주기적으로 약제방제를 실시한다.
다음 호에서는 <정식 및 시비>에 대해 연재한다. *이 기사는 팜앤마켓매거진 2025년 4월호에서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