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6 (토)

  • 맑음동두천 17.5℃
  • 맑음강릉 23.3℃
  • 맑음서울 16.8℃
  • 맑음대전 19.0℃
  • 맑음대구 23.8℃
  • 맑음울산 21.4℃
  • 맑음광주 20.0℃
  • 맑음부산 16.7℃
  • 맑음고창 17.3℃
  • 맑음제주 17.8℃
  • 맑음강화 13.1℃
  • 맑음보은 18.9℃
  • 맑음금산 18.7℃
  • 맑음강진군 19.7℃
  • 맑음경주시 24.4℃
  • 맑음거제 15.8℃
기상청 제공

약초/특용작물

산나물 병해<36>어수리 흰가루병白粉病, Powdery mildew

"봄, 가을에 발생 많다"

학명 : Heracleum moellendorffii Hance

증상

잎에 밀가루를 뿌려 놓은 듯한 흰가루가 생겨 잎 표면을 덮으며 오래되면 말라 죽는다.

 

 

 

병원체 : Erysiphe heraclei DC.

진균계 > 자낭균문 > 두건버섯강 > 흰가루병균목 > 흰가루병균과 > 흰가루병균속Erysiphe에 속한다.

자낭각의 지름은 80~96㎛, 자낭의 크기는 24 × 32~40㎛, 자낭포자는 4~5 × 6~8㎛이다. 무성세대에서는 분생자경의 끝에 연쇄상으로 생성되는 무색, 단포, 타원형의 분생포자를 만든다.

분생포자의 크기는 12~14 × 40~56㎛이다. 이 균은 순활물기생균으로 인공배지에서 자라지 않는다.

 

발생생태

6월에 발생하기 시작하여 10월까지 발생한다. 병원균은 병든 식물체의 잔재물에서 균사 혹은 자낭각의 형태로 겨울을 나고 이듬해에 전염원이 된다. 분생포자로 공기전염 한다. 이 병은 낮과 밤의 기온 차가 심한 봄, 가을에 발생이 많다.

 

방제 방법

• ‌병든 식물체의 잔재물을 제거한다.

• ‌통풍과 투광이 잘 되도록 관리한다.

• ‌배수를 좋게 하거나 배수가 잘 되는 토양에 재배한다.

• ‌발병 초기에 등록약제 테부코나졸 유탁제, 메트라페논 액상수화제, 펜티오피라드 유제, 사이플루페나미드·헥사코나졸 액상수화제를 경엽에 살포한다.

 

‌다음 호에서는 <왕고들빼기 잘록병>에 대해 연재한다.

*이 기사는 <팜앤마켓매거진 2025년 1월호>에서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C) 팜앤마켓. 무단전재 재배포금지





포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