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료 (4인분) ▶ 주재료: 풋고추(20개), 무(300g), 쪽파(20g) ▶ 부재료: 홍고추(2개) ▶ 밀가루 풀 재료: 물(⅔컵), 밀가루(1큰술) ▶ 양념: 굵은 소금(½컵), 설탕(1큰술), ▶ 양념: 액젓(4큰술), 새우젓(1½큰술), ▶ 양념: 굵은 소금(1¼큰술) 풋고추 물김치 만드는 법에 대해 <팜&마켓매거진 8월호>에서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첫째, 치유농장 프로필 만들기 농장의 개략적인 정보(사진 등), 농장에 대한 간략한 소개(농장 규모, 주변 환경, 기르는 가축, 작물, 주요활동 혹은 생산품), 연간 활동 목록(주요 활동, 매년 바뀌는 활동 등), 현재 농장에서 수행 중인 프로젝트(신축공사, 증축공사, 보수공사, 전기시설 설치 등), 농장 위치, 지역사회 서비스(지도에서 제시되는 농장 위치, 주소, 주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예컨대 의료보건 시설, 매장, 관공서, 영화관 등), 농장주 또는 가족에 대한 스토리텔링의 내용으로 구성할 수 있다. 둘째, 고객 환영하기 고객이 이전에 치유 농장을 방문한 경험이 있다 하더라도 그들에게 치유 농장에 대해 다시 소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별한 활동을 할 필요 없이 그저 앉아서 담소를 나누거나, 차를 마시거나, 다과를 즐기면서 편안하게 시작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서로를 소개하면서 그들의 감정이나 치유농장을 방문한 목적 등에 대해서 파악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그들이 편안한 감정을 느낄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셋째, 안내하기 새로운 고객들에게 어떤 음식들을 먹게 될 것이고, 어떤 활동들이 제공될 것인지에 대해 보여주고, 농장 내
잎을 따 손으로 비벼서 우려먹던 취나물로‘비비취’였다가 비비추로 바뀌었다고 하는 설이 있다. 또 잎이 비비 꼬여 있어서 비비라는 표현이 붙은 것으로 알려지고 취나물의 추자를 붙여서 이름이 붙여졌다는 이야기도 있다. 우리나라 공원이나 학교, 아파트, 가로화단 등에서 가장 쉽게 만날 수 있는 우리 꽃 비비추이다. 야생화가 도시로 내려와 가장 많이 식재한 꽃 가운데 하나이다. 땡볕이 내리쬐는 여름날 축 늘어진 나뭇잎 사이로 녹색의 잎을 싱그럽게 펼쳐내 지면을 덮고, 꽃대를 쭉 올려 작은 나팔 같은 보랏빛 꽃송이들을 줄줄이 피워내는 비비추. 비비추의 정확한 유래는 찾을 수 없으나 하나는 이 비비추가 나물로 먹었었는데 독성을 제거하기 위해 꽤나 비벼대야 했던 데서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또 하나의 설은 비비추와 옥잠화, 강황 등이 싹을 올릴 때 잎이 비비 꼬여 있다고 해서 ‘비비’그리고 나물로 먹는 것이라고 해서 ‘추’를 써서 비비추라고 했다고 하는데 두 가지 모두 정설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비비추는 백합과 여러해살이 초화류로 40cm 내외로 자라며 학명은 Hosta longipes (Franch. & Sav.) Matsum.이며 세계적으로 40여 종이 자생
침실에는 밤에 공기 정화 기능이 우수한 식물이 좋다. 예를 들어 호접란, 선인장, 다육식물 등이다. 호접란은 휘발성 화학물질 제거율이 뛰어나고 일반 가정의 실내 환경에서 잘 자란다. 또 특히 게발선인장은 야간에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방출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어 침실에 적합한 공기 정화식물로 평가 받고 있다. <팜&마켓매거진 8월호>에서는 침실에 좋은 공기정화식물을 소개했습니다.
꽃 이야기 *학명: Malva sylvestris var.mauritiana *꽃 피는 시기: 5~6월 *꽃말: 자애, 어머니의 사랑 *꽃 색깔: 진분홍, 흰색 *이명: 금규 *과명: 아욱목의 아욱과 당아욱 꽃은 쌍떡잎식물 두 해 살이 풀이며 잎겨드랑이에 작은 꽃자루가 있는 꽃이 모여 달리며 밑에서부터 피어 올라간다. 이 꽃은 여름부터 가을까지 지름 2~5cm의 아름다운 꽃이 잎겨드랑이마다 두여 송이씩 달린다. 꽃잎은 5개로 연한 자줏빛 바탕에 짙은 자줏빛 맥이 있는데 품종에 따라 여러 가지 빛깔이 있으며 꽃받침은 녹색이고 5개로 갈라진다. 여러 개의 수술대가 한데 뭉쳐 있으며 암술은 실처럼 가늘고 많으며 잎은 손바닥 모양이다. 당아욱 꽃차는 처음 덖을 때는 분홍색인데 서서히 마르면서 보라색으로 변한다. 당아욱 꽃차 만드는 방법에 대해 <팜&마켓매거진 8월호>에서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지구본을 보면 적도를 기준으로 우리나라 반대편에 호주가 있다. 계절적으로 반대인 호주는 지금 추운 겨울이 시작되어 겨울의 대표 꽃인 심비디움이 한창 개화 중이다. 작년 이맘때 국내 심비디움의 신수출 시장 중의 하나인 호주의 심비디움 유통현황에 대해 알아본 바를 간략히 소개하고자 한다. 호주 화훼 유통망 경매제도가 아니다 먼저 호주의 화훼 유통망은 경매제도가 아닌 기본적으로 도매상을 통한 거래와 대형 가든 센터 등으로 농장에서 직접 납품하는 형태이다. 호주는 다양한 인종과 특성에 따라 화훼시장도 특정 품목, 화색, 크기 등 상관없이 유통되고 있다. 특히 자생종에 대한 품목 개발과 유통이 활발하다. 특히 밸런타인데이 등 특별한 날 소비되는 화훼가 많고, 인건비가 비싸기 때문에 화훼 수입량(절화류)이 많다. 즉, 집중 거래시기가 2월 중순 경으로 2주간 매출이 연간 매출 20% 정도를 차지할 정도이며, 주 품목은 장미로 절화류 중 34% 정도를 수입하고(그림 1) 대부분 케냐, 에콰도르 산이다. 난은 13% 정도 수입하며 그중에서 심비디움은 분화뿐만 아니라 절화로도 인기가 높다. 심비디움 절화의 경우 호주산보다는 뉴질랜드산이 더 고가로 거래되고, 가격은 15불에서
본지 7월 호에서는 미국 워싱턴주립대학교 매튜 파이팅 교수는 ‘미국 체리 생산의 현재와 전망’을 소개했다. 이번호에서는 중국 북경임업과수과학연구소 부소장인 장 카이춘 교수의 ‘중국의 체리 재배 현황’을 소개한다. 장 교수는 체리 ‘차이시아’, 대목 ‘징춘1호’ 등 여러 품종을 개발한 체리 유전 자원·육종 전문가다. ‘중국의 체리 재배 현황’ 등을 <팜&마켓매거진> 독자들이 공유할 수 있도록 도움 주신 과수과 권정현 농업연구사께 감사드린다.<편집자 주> 체리 재배의 역사와 주요 산지 중국 체리의 재배 역사는 1871년 미국 선교사에 의해 10개의 스위트 체리와 산과 체리가 옌타이Yantai, 烟台 지방에 도입된 것으로 시작된다. 또한 1880년대에 라이산Laishan, 萊山 주민이 ‘나폴레옹’ 품종을 한국에서부터 도입했고, 1890년에는 즈푸Zhifu, 芝罘 지역의 주민이 미국 항해사로부터 ‘블랙타타리안’ 품종을 도입했다. 중국에서 상업적으로 체리가 재배되기 시작한 것은 1980년대이며 1990년대에는 보하이만Bohai Bay, 渤海灣 지역과 룽하이철도Longhai railway, 陇海铁路 인근에 대규모 주산지가 형성됐다. 2016
▶ 주재료: 천도복숭아(2개), 아스파라거스(8대), 베이컨(16장) ▶ 부재료: 머스터드소스(1큰술), 토마토케첩(1큰술) ▶ 양념: 소금(1작은술), 통후추 간 것(1작은술) 천도복숭아는 껍질을 벗겨 웨지 모양으로 썰고, 아스파라거스는 이등분한다. 베이컨 위에 복숭아와 아스파라거스를 위에 올려 돌돌 만다. 소금(1작은술), 통후추 간 것(1작은술)을 뿌려 간한다. 180℃로 예열된 오븐에 종이포일을 깔고 10분간 구운다. 기호에 맞게 머스터드소스 또는 토마토케첩을 곁들여 마무리한다.*TIP! 팬에서 구우면 달라붙으니올리브유(1큰술)를 코팅한 뒤 구워요. 풀어진다면 꼬치로 고정해서 구워도 좋아요.
우리나라 국화 무궁화 꽃은 7월부터 10월까지 100여 일간 피고 지며 계속 꽃이 이어지므로 무궁화라는 이름을 가지게 됐다. 서양에서는 무궁화를 이상향 샤론의 장미Rose of Sharon라 부르며 꽃 중의 꽃이라 칭한다. 무궁화의 고아하고 순결한 아름다움을 높이 산다고 한다. 붉고 하얀 꽃잎과 씨방으로부터 흘러나오는 붉은색이 정열적인 무궁화는 동의보감에‘무궁화꽃가루를 물에 타마시면 수인성 전염병을 예방하고 설사를 멈춘다’라고 쓰여 있다. 무궁화꽃차의 맛은 달고 성질은 서늘하며 혈관의 기능을 튼튼하게 해준다고 한다. 무궁화 꽃차는 뜨거운 물과 닿으면 바로 꽃잎의 색이 빠지며 수색은 꽃색에 따라 연둣빛에서 청록에 가까운 맑고 청량한 빛이 돈다. 꽃차가 우려지는 동안 꽃이 피어나는 모습을 즐길 수 있다. 꽃 이야기 무궁화*꽃 피는 시기: 7~10월*꽃말: 일편단심, 은근, 끈기*꽃 색깔: 흰색, 분홍색, 보라색*이명: 목근화, 부용수*과명: 아욱과 <팜&마켓매거진 7월호>에서는 무궁화꽃차 만드는 방법을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패랭이꽃은 조선시대 상인들이 주로 머리에 쓰던 모자를 거꾸로 한 모습이 비슷하다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술패랭이 꽃은 전체적인 꽃의 모양이 패랭이를 닮았고 꽃잎의 가장자리는 장식용 술처럼 깊게 갈라져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옛날 중국에 힘이 센 장사가 있었다. 그는 인근 마을에 밤마다 사람을 괴롭히는 요정이 있다는 말을 듣고 산으로 올라갔다.그는 화살을 겨누어 괴롭히던 요정이 숨어있던 돌을 힘껏 쏘았는데 너무나 세게 쏘았으므로 화살이 바위에 깊숙이 박혀 빠지지 않았다. 그 후 그 돌에서 대나무처럼 마디가 있는 고운 꽃이 피었는데 사람들은 위에서 핀 대나무를 닮은 예쁜 꽃이라고 하여 사람들은 돌석石, 대나죽竹를 써 석죽이라는 이름을 붙였다는 전설이 깃든 패랭이 꽃은 석죽과 식물로 여러해살이 초화류이며 키는 보통 40cm 내외로 자란다. 이명으로는 석죽화石竹花, 대란大蘭, 구맥瞿麥 등으로 부르며 세계적으로 세계 300여 종이 자생한다. 우리나라는 패랭이꽃을 비롯한 술패랭이, 구름패랭이, 갯패랭이 등이 낮은 지대의 건조한 곳이나 모래땅, 냇가 등에서 자생한다. 학명은 Dianthus chinensisL. var. chinensis이며 영명은 Chinese pin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