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박이응애 3 ㅣ 잎응애과 Tetranychidae 학명 Tetranychus urticae Koch 영명 Two-spotted spider mite *이 기사는 월간<팜앤마켓매거진>2024년 12월호에서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ㅣ 잎응애과 Tetranychidae 학명 Tetranychus urticae Koch 영명 Two-spotted spider mite 다음 호에서는 <점박이응애 3>에 대해 연재한다. * 이 기사는 팜앤마켓매거진 2024년 11월호에서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병징 식물체 각 부위에서 발병하는데, 뿌리에서는 표면에 흑색의 부정형 병반이 생기고 흑변부는 점차 내부로 침투하여 뿌리줄기 내부의 유관속까지 도달한다. 뿌리 줄기를 절단해보면 유관속이 흑변되어 바퀴 모양으로 둘러싸여 있다. 잎에서는 암갈색의 원형 또는 타원형의 병반이 형성되고 병반이 파괴되어 구멍이 생긴다. 잎자루에서 세로로 긴 암갈색 병반이 생기고 진전되어 잎자루를 에워싸면 그 부분이 쉽게 부러진다. 꼬투리나 종자 표피에도 검은 병반이 생긴다. 병원균 병원균은 Phoma wasabiae Yokogi로 불완전균의 일종이며 발육온도는 4∼34℃, 최적 온도는 26℃이다. 균이 종자번식묘 부위에 침투하는 순서를 보면 주 뿌리 줄기를 통한 감염이 가장 많고 다음은 잎자루이다. 계절별 발생 추이 잎에서는 4월 기온 상승과 동시에 발생하기 시작해 5∼6월에 증가하지만 7∼8월 고온기에는 억제된다. 기온이 저하함과 동시에 다시 증가하고 11월까지 계속해서 발병한다. 뿌리줄기 내의 병반은 연중 계속 번지지만 겨울철에는 그 속도가 약간 둔화된다. 방제 방법 무병주를 선택하고 포장에서 병에 감염된 잎과 줄기 등 잔존물 제거와 같은 경종적 방제를 수행한다. 감염 경로상 약제
학명 : Heracleum moellendorffii Hance 증상 주로 잎에 발생하는데 무늬가 일정하지 않은 갈색의 반점이 생겨 점차 확대되며 나중에는 병반끼리 합쳐져 대형 병반으로 된다. 병환부는 찢어지기 쉽다. 병든 잎은 점차 황화하며 말라 죽는다. 병원체 : Phoma sp. 진균계 > 자낭균문 > 좌낭균강 > 얇은공버섯목 > 작은쌍포자균과 > 반점균속Phoma에 속한다. 병원균은 분생포자각과 분생포자를 만든다. 분생포자각은 흑색 소립모양으로 그 안에 무수히 많은 분생포자를 내포하고 있다. 분생포자각의 직경은 160㎛이다. 분생포자는 무색, 단포, 단간형, 크기는 2~3×4~12㎛ 정도이다. 발생생태 6월 하순경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10월까지 확대된다. 심하게 발생하면 발병엽율이 20% 이상에 달하기도 한다. 최대 발생시기는 8월 중순이다. 특히 병원균은 분생포자로 공기를 통하여 전반 된다. 생육기에 비가 많이 올 때 발생이 심하다. 방제 방법 • 병든 식물체의 잔재물을 제거한다. • 통풍과 투광이 잘 되도록 관리한다. • 배수를 좋게 하거나 배수가 잘 되는 토양에 재배한다. • 발병초기에 등록약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플룩사피록사드
증상 수리취의 주 전체가 시든다. 뿌리를 뽑아 보면 토양과 접한 줄기 혹은 주근, 잔뿌리의 일부가 담갈색으로 썩는다. 병든 줄기를 절단하여 보면 도관부가 갈변되어 있다. 병원체 : Phytophthora cryptofgea Pethybr. & Laff. 색조류계 > 난균문 > 난균강 > 노균목 > 노균과 > 역병균속Phytophthora에 속한다. 병원균은 난포자와 유주자낭, 유주자를 만든다. 난포자는 원형으로 막이 두텁고, 유주자낭은 타원형으로 그 안에 헤엄 털이 2개 달린 유주자가 들어 있다. 물속에서 사는 수생균으로부터 진화한 것으로 추정된다. 토양 서식균으로 토양에서 장기간 생존이 가능하다. 발생생태 7월~8월에 발생한다. 병원균은 난포자 형태로 토양 속에서 장기간 생존한 후 발아하여 유주자낭을 만들며 그 안에 있던 유주자가 바깥으로 나와 토양수분을 따라 이동하여 토양과 접하는 부위나 뿌리를 침입하여 발병한다. 병 발생에는 토양수분이 중요한 역할을 하며 저습지나 물 빠짐이 나쁜 찰흙 토양, 장마철에 많이 발생한다. 방제 방법 • 병에 걸렸던 곳은 피하거나 토양을 소독한 후 재배한다. • 두둑을 높여 배수를 좋게 하거나 배수가 잘 되는 토양에
갈색무늬병 특징 - 잎, 잎자루, 줄기 등에서 발생한다. - 다갈색이나 흑갈색의 무늬이다. - 뒷면에 회색 곰팡이가 생긴다. - 무늬 둘레에 담황색의 테두리선이 생긴다. 검은무늬병 특징 - 흑갈색의 병반과 잎 뒷면 흑색 소립 형성. 그물무늬병 특징 - 황갈색이나 청동 빛깔의 그물모양의 증상이 잎 표면에 나타난다. - 병반이 진전되면 점점 커지면서 여러 개의 병반이 잎 표면 전체를 덮는다. - 오래된 병반은 말라 찢어지며 조기 낙엽된다. 갈색무늬병, 검은무늬병 그물무늬병 관리방법 - 테부코나졸 유제, 클로로탈로닐 수화제 등을 살포한다. - 발생 초기 10일 간격 3회 이내로 살포한다. - 저항성균 출현을 방지하기 위해 연속 살포를 피하고 다른 계통의 약제와 번갈아 살포할 것을 권장한다, 굼벵이 특징 - 땅속에서 꼬투리를 가해하여 피해를 주며, 심할 경우 뿌리를 갉아 먹는다. - 주로 큰검정풍뎅이가 피해를 준다. 관리방법 - 테플루트린 입제, 카보퓨란 입제 등을 살포한다. 약 성분이 땅속에 잘 스며들도록 비 오기 직전에 뿌리거나 뿌린 후 약간의 관수를 하면 효과적이다. 다음 호에서는 <기능성 잡곡류 생육중기 주요 병해충 피해 특징
잎응애과 Tetranychidae 학명 Tetranychus urticae Koch 영명 Two-spotted spider mite 피해와 진단 - 사과나무 외에도 배나무의 주요 해충이며, 옥수수·콩 등 전작물과 채소, 화훼, 잡초 등도 가해하여 기주범위가 매우 넓다. - 5월부터 10월에 걸쳐 주로 잎 뒷면에서 구침(주둥이)을 세포 속에 찔러 넣고 엽록소 등 내용물을 흡즙하므로 피해가 상당히 진전된 후에야 육안으로 구분이 된다. - 사과나무 피해 잎은 황갈색으로 변색되어 광합성 및 증산작용이 저하되며, 심하면 8월 이후에 조기낙엽이 되고, 과실의 비대·착색·꽃눈형성 저하등에 영향을 주기도 한다. 일부가 수확 전에 과실의 꽃받침 부위로 이동하는데 이러한 점박이응애의 과실 부착은 사과 수출시 큰 문제가 되고 있다. 발생생태 - 등황색의 교미한 암컷성충으로 주간부의 거친껍질 틈새나 지면의 낙엽 및 잡초에서 주로 월동한다. - 겨울 중 많은 월동성충이 사망하고, 이른 봄에 생존한 월동성충이 잡초로 옮겨가 가해하면 등쪽 양편에 검은 반문이 있는 여름형으로 바뀌면서 약 20여일 동안 40여개를 산란한다. 이후 세대부터는 30여일 동안에 약 100개 정도를
* 이 기사는 팜앤마켓매거진 2024년 9월호에서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다음 호에서는 <점박이응애>에 대해 연재한다.
학명 Panonychus ulmi Koch 영명 European red mite 해충 용어 해설 무시충 : 날개 없는 진딧물 성충 유시충 : 날개 있는 진딧물 성충 노숙 유충 : 번데기 되기 직전의 애벌레 무각 유충기 : 다리 없는 어린 유충기 유각 유충기 : 다리 생긴 어린 유충기 피해와 진단 사과, 배, 복숭아나무 등 100여 종의 수목을 가해한다. 5월부터 10월에 걸쳐 유충, 약충은 잎 뒷면에서, 성충은 주로 잎 겉면에서 구침(주둥이)을 세포 속에 찔러 넣고 엽록소 등 내용물을 흡즙하므로 피해잎 표면이 백색 반점으로 보인다. 피해잎은 황갈색으로 변색되어 광합성 및 증산작용이 저하되며, 심하면 8월 이후에 조기낙엽이 되고, 과실의 비대·착색·꽃눈 형성 저하 등에 영향을 주기도 한다. 발생생태 알 상태로 작은 가지의 분기부分岐部나 1~2년생 이상 가지의 눈 주위에서 월동한다. 연간 7~8세대를 경과하지만, 7월 이후는 세대가 중복된다. 사과나무의 개화기인 4월 하순부터 5월 상순에 부화하고, 부화한 유충은 과총엽으로 이동하여 섭식하며, 부화 2~3주 후부터 성충이 된다. 6월 하순 이후 기온이 상승하면서 증식이 빨라져 발생최성기는 7월 하순부터 8월이지만
다음 호에서는 <사과나무 응애>에 대해 연재한다. *이 기사는 팜앤마켓매거진 2024년 7월호에서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