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소는 좋은 먹거리이면서 채소의 다양한 모양과 색상은 볼거리와 마음을 안정시키는 작용을 한다. 관상용 채소를 통해 자연의 소중함, 가꾸는 즐거움을 갖는다. 또 채소를 이용하여 쉼터를 만들거나 다양한 체험활동을 할 수 있다. 또 농촌 교육농장, 농업관련 축제에 다양한 채소로 관심을 높인다. 아울러 콘테스트, 장식품, 조각품, 조형물을 만들어 부가가치를 증진시키는 것도 채소이다.농촌진흥청은 이에 따라 보고, 가꾸고, 먹고 즐기는 수요자 맞춤형 기능성 텃밭모델을 개발했다.이번호는 암 예방을 위한 텃밭만들기를 소개한다.암 예방에 좋은 기능 성분은 sulfur compounds, inulin, flavonoids, carotenoids, polyphenols, lysine, indol, glucosinolates,catechins, tryptophane,tannin 등이다. 주로 마늘, 생강, 셀러리, 양배추, 가지, 배추과 채소, 당근, 토마토, 호박, 고구마, 순무, 시금치, 양파, 우엉, 딸기, 멜론, 감자 등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 또 감귤류, 사과, 포도, 콩, 녹차 등에도 암 예방 기능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팜&마켓매거진 7월호>에서 국
벨기에는 비교적 소규모로 시작하는 농장이 많으며, 네덜란드, 영국 등 다른 유럽국가의 Care Farm들이 그룹형태로 참여자들을 동시에 치유하는 경우가 많은데 반해, 1:1로 치유 서비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영국에서는 animal therapy, therapy in gardens 등 문제행동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보다 직접적인 활동을 하는 반면, 벨기에에서는 참여자가 농장의 일상생활에 참여하는 유용한 활동을 제공하는 green care의 관점을 가진다. Care Farm의 운영 기간은 자율적이며, 쉽고 간단한 농장 일을 통해 실제 농장의 경제적 과정에 참여(참여자의 경우도 2주에 반일 참여부터 일주일 내내 참여 등 다양)한다. 또 농업인 단체에 포함되어 있다(이러한 점이 농업인들에게 자신감을 갖게 함) 아울러 체계적인 조직과 지원체계를 가진다. ▶ 치유농장의 서비스 Green Care는 농업 환경을 이용하여 행해지는 넓은 범위의 취약자를 위한 모든 가능한 치유 활동을 말한다(낮 동안의 의미 있는 활동, 휴식, 고용경로 등). Green Care 활동의 참여는 자발적이며, 전문적인 도움을 받는다. 또 Social Farming은 농장에서 이루어지는
현대인의 하루 일과는 90% 이상을 실내에서 생활하며, 하루에 20~30kg 정도의 공기를 마신다고 한다. 때문에 실내공기가 실외공기보다 현대인의 건강을 훨씬 위협한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원예식물은 공기정화식물이 뛰어나며, 특히 실내에서의 공기정화뿐 아니라 실내 습도를 높여 가습기 역할을 한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또 실내 식물은 보는 사람들의 스트레스 감소, 정서 함양, 반려식물의 역할도 톡톡히 해내고 있다.<편집자 > 거실에는 빛이 적어도 잘 자라는 식물이면서 휘발성유기화학물질 제거 기능이 탁월한 식물이 좋다.아레카야자, 왜성대추야자(피크닉야자), 대나무야자(세이브리찌야자), 인도고무나무, 보스턴고사리, 드라세나 등이다. <팜&마켓매거진 7월호>에서는 거실에 필요한 공기정화식물을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국내 체리 연구를 활성화하고 생산 기반을 견고히 하기 위해 지난 5월 29일 ‘체리 산업의 현재와 미래’ 국제 체리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날 미국 워싱턴주립대학교 매튜 화이팅 교수는 ‘미국 체리 생산의 현재와 전망’을 발표했다. 화이팅 교수는 과수원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노동력 절감형 나무 모양인 ‘UFO 수형’을 중심으로 기계화가 가능한 미래형 과원을 한 단계씩 구현해 나가고 있다고 밝혔다. 파이팅 교수의 ‘미국 체리 생산의 현재와 전망’ 등에 관한 자료를 정리하여 <팜&마켓매거진> 독자들이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도움 주신 과수과 권정현 농업연구사께 감사 드린다.<편집자 주> 체리 생산에 있어서 작업 효율을 증진시켜야 한다는 점, 과실 품질을 향상시켜야 한다는 점은 지속적으로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미래의 체리 과원이 갖추어야 할 핵심 요인들은 경제성, 지속 가능성, 작업 편리성 등이 있지만 본인이 가장 강조하고 싶은 것은 자동화와 기계화를 통한 작업 효율성 향상이다. 특히 본인이 연구와 현장지도를 하고 있는 워싱턴주에서도 노동력 부족 현상이 심해지고 있기 때문에 자동화와 기계화는
치유농장의 서비스 농장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다. 유제품, 가축, 육우, 말, 작은 동물, 채소 또는 과일 재배 등의 농업의 유형과 지원 방식이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치유농장 종사자는 전문치료사는 아니지만 고객을 특별히 돌보는 감독자이다. 농장은 농촌 품질 시스템, 위험 재고 및 평가(within the framework of the Labor Code)에 참여하고 사업 지원 프로그램을 따른다. Landzijde는 MBO 교육을 통해 치유농장주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하고, 이 훈련은 Purmerend의 Groenhorst College (Dronten 출신)와 공동으로 진행하고 있다. 치유농장주들은 참가자들에게 올바른 지침을 제공하는 훈련을 받고 있다. 참여자 유형에 따른 접근 방법 및 효과 측정 참여자의 삶의 강화(empowerment), 통제(control)에 기반, 자신의 힘으로 자신의 네트워크를 강화함으로써 참가자들은 다시 사회에 참여할 수 있다. 치유 농장의 참가자는 자부심과 자존감을 높이는 ‘실제 작업(real work)’을 경험함으로써 그들의 건강, 개인 생활의 구조(structure in personal life), 교육, 직장 등 다양한 영역에
수레국화꽃*학명: Centaurea cyanus L*꽃 피는 시기: 6~9월*꽃말: 행복감*꽃 색깔: 보라색, 분홍색, 흰색, 파란색*이명: 도깨비부채, 시차국, 남부용*과명: 초롱꽃목 국화과 수레국화꽃은 쌍떡잎식물의 한해살이풀로 높이는 30~90cm 정도이다. 꽃은 여름에서 가을에 걸쳐서 순차적으로 개화하며 두화는 가지와 원줄기 끝에 1개씩 달리고 많은 품종이 있으며 색깔이 다양하다.꽃 색은 주로 남청색이며 이외에도 백색, 분홍, 자주색, 복색 등으로 다양하다. 꽃 전체의 형태는 방사형으로 배열되어 있고 모두 관상화지만 가장자리의 것은 크기 때문에 설상화로 보인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쪽이 좁고 넓은 거꿀피침형이다. 꽃모양이 수레바퀴 모양이고 국화꽃을 닮아서 수레국화라고 전해진다. 수분을 완전히 제거하여 병에 밀봉한 수레국화꽃차는 가급적 한 달 이상 숙성한 뒤에 개봉하여 음용하는 것이 좋다. 숙성한 꽃차는 꽃 본연의 향과 맛을 더 느낄 수 있다. <팜&마켓매거진 6월호>에서 수레국화꽃차 만드는 방법을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줄기는 등나무 닮고, 하얀 꽃을 피운다 해서 백화등이요,“꽃이 필 때 마치 등불이 매달린 것처럼 환하게 핀다” 하여 백화등이다.백화등은 협죽도과 식물로 상록 여러해살이 초화류로 5m내외까지 자란다. 학명은 Trachelospermumasiaticumvar. majus(Nakai) Ohwi이며, 영명은 White-flower Asian jasmine이다. 백화등은 다른 식물에 비해 내한성이 약한 편에 속한다. 정읍을 기준으로 볼 때 겨울나기 식물로 적합하지 않았으나 3년 전부터 노지에도 월동하고 있어 온난화 기온변화를 실감하고 있다. 보통 5월초부터 6월초까지 백색의 바람개비 모양의 꽃을 피우고, 질 때는 인동덩굴처럼 황색으로 변하며 향이 매우 좋다. 특히 요즘 시판되고 있는 자스민 백화등(개량종)은 꽃이 필 때 코를 찌를 정도의 강한 향을 내 품는다. 백화등의 특징은 줄기나 잎을 자르면 더덕처럼 하얀 액체가 나오며 칡나무나 등나무처럼 다른 나무들을 감고 올라간다. 이때 줄기에서 뿌리가 내려 다른 물체에 잘 달라붙는 것이다. 재배방법은 종자를 채취하여 노천에 매장했다가 이듬해 봄에 파종하는 방법과 8~9월 사이 신초지가 경화됐을 때 삽목하는 방법이 있다. 종자
세계 각국은 ‘컴퓨터적 사고 이해’를 매우 중요한 가치로 인식하고 미래를 이끌어 갈 아이들에게 소프트웨어 교육 정책을 마련하고 지속적으로 투자를 확대해 가고 있다. 미국의 버락 오바마, 스티브 잡스, 마크 주커버그 등 대표 인사들이 2015년 전면에 나서 코딩 교육 캠페인을 주도하여 미국의 20개 주가 컴퓨터 과학 교육 지원 정책을 수정하는 등 큰 변화를 일으켰다. 영국의 경우도 2014년부터 초·중·고에서 필수과목으로 의무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15년 교육부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소프트웨어 중심사회를 위한 인재양성 추진계획’을 발표하면서 미래사회의 창의인재 양성을 위해 소프트웨어 교육을 초중등에 확산하고, 현장 수요에 부합하는 인력 공급을 위해 대학 소프트웨어 교육의 혁신을 추진하게 되었다. 따라서 2018년부터는 중학교의 정보 과목이 선택교과에서 34시간 이상의 필수교과로 바뀌게 되었고, 2019년부터는 초등학교의 실과 내의 정보통신기술(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단원이 17시간 이상의 소프트웨어 기초교육으로 개편되었다. 코딩은 컴퓨터 언어인 ‘코드(Code)’로 프로그램을 만드
7,80년대 옛날 여고생이 예쁘게 머리를 양 갈래로 따서 다니던 시절을 회상하게 하는 꽃이다. 꽃의 둥근 모양이 옛 여인들이 치마 속 허리춤에 매달고 다니던 두루주머니와 비슷하게 생겼다하여 며느리 주머니라고 불렀으며, 며느리 밥풀, 며늘취라고 불렀던 꽃이다. 학명은 Dicentra spectabilis (L.) Lem.이며 영명은 'Bleeding Heart’ 이다. 금낭화는 주로 깊은 산 계곡 근처의 부엽질이 풍부한 곳으로 아침햇살이 충분히 비치는 지역을 좋아 한다. 꽃은 보통 4~6월 사이 연분홍색 심장장형의 꽃을 피우는데, 다른 꽃에 비해 폐쇄형으로 수정이 잘 안 되는 편이다. 금낭화 본연의 아름다운 꽃을 감상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아침 햇볕을 3시간 이상 충분히 받아야 분홍빛 아름다운 꽃을 감상 할 수 있다. 특히 금낭화는 산성 토양을 좋아하기 때문에 과다한 질소 사용이나 퇴비 주는 것은 좋지 않다. 금낭화 특징금낭화의 특징으로는 줄기 전체가 흰빛이 도는 녹색이며 줄기나 잎이나 줄기를 자를 경우 적색의 유액이 흐른다. 이 유액을 염색 염료로 이용할 수 있다.재배요령으로는 8월초에 잘 익은 종자를 채종하여 바로 파종한다. 광과는 무관한 종자이기 때문에 할
네덜란드에서는 법적으로 사업가가 산업체에 응급 및 구조 서비스와 관련된 사항을 구성하도록 하고 있다. 사업가는 자기자신 및 가족에 대한 안전을 책임져야할 뿐만 아니라 수요자와 하청인에 대한 안전도 책임질 필요가 있다. 치유농장에서는 화재와 같은 재난 상황이나 독성 물질 접촉 시 행동 요령에 대해 반드시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 네덜란드의 많은 조직 및 학교에서는 이러한 가정 내 응급 및 응급처치서비스BHV와 관련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학위를 취득하기 위한 훈련에서도 가정 내 응급 및 응급처치서비스와 관련 프로그램을 포함하도록 하고 있다. 이외에도 네덜란드의 지역네트워크 조직 및 교육기관에서는 치유농업에 종사하는 직원 및 관리자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훈련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네덜란드의 훈련 프로그램과 관련해서 지역네트워크 조직인 Bezinn 등의 기관 및 단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훈련 프로그램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 Bezinn은 협회 자체 및 Trajectum 기관을 통해서 다양한 훈련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응급 및 응급처치서비스(BHV), 고객 관리, 재정 및 부채, 자원 등의 훈련 프로그램이 그 예이다. 응급 및 응급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