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5 (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피플·칼럼

전체기사 보기

<편집장의 글> 수도작 농가, 현장 맞춤형 농기계 수리비 지원 정책 ‘절실’

벼농사를 짓는 농민들에게 농기계는 필수다. 파종부터 모내기, 제초, 수확, 건조까지 모든 과정에서 트랙터, 이앙기, 콤바인, 건조기 등이 투입된다. 그러나 고장이 발생할 경우 농가는 막대한 수리비를 고스란히 떠안아야 한다. 한 수도작 농가는 트랙터 고장으로 500만 원에 달하는 수리비를 지출했다며 “농사를 지어도 남는 게 없다”는 하소연이 나올 수밖에 없는 현실이라고 말했다. 농가 소득이 크지 않은 현실에서 농기계 고장이 가계에 치명적인 타격을 준 것이다. 농기계 수리비 부담은 구조적 문제다. 부품 수입 의존도가 높아 가격이 비싸고, 정비 인력이 부족해 인건비도 상승한다. 농번기에는 시기를 놓치면 피해가 크기 때문에 울며 겨자 먹기로 비싼 수리를 맡길 수밖에 없다. 이제는 정부와 지자체가 농기계 수리비 지원 정책을 제도화해야 한다. 첫째, 농기계 수리비 직접 지원 확대이다. 일부 지자체에서 시행 중인 수리비 지원 사업을 전국 단위로 확대해야 한다. 수도작 농가처럼 기계 의존도가 큰 농업 분야에는 우선적으로 절실할 듯하다. 둘째, 농기계 보험 개선이다. 현재 농기계 종합보험은 사고 중심 보장에 머물러 있어 실질적인 도움이 되지 못한다. 고장·수리비까지 보장하는







포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