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속에서 공간을 채우는 데에는 다양한 방식이 있겠지만, 꽃은 공간을 편안하게 하면서 아름답다. 특히 사람과의 관계에서 마음을 감동시키는 데에는 압도적이다.
사무실이나 가정에서 활기 넘치는 분위기를 느끼고 싶다면 단언컨대 꽃만큼 향기롭고 사랑스러운 것은 없다. 생활 속에서 꽃은 언제나 기분 좋게 만드는 ‘끼’가 있다.
누군가와 화해하거나 고백할 때 혹은 기분 전환하고 싶을 때도 꽃의 효과는 지체 없이 나타났다. 그래서 세월이 흘러도 변함없는 ‘일상의 꽃의 가치’라고 할 수 있다.
꽃의 컬러와 향기는 사람의 마음을 부드럽게 감싸며 행복한 감정을 솟게 만든다. 꽃이 우리 곁에 있어야 할 이유다. 사람과 사람 사이를 이어주는 꽃의 존재와 가치는 계속되고 있다.
다소 어색할 수 있는 사람과의 분위기이나 사무실, 집안 등에 포인트를 줄 수 있는 매개체는 현재도 단언컨대 꽃이다.
신선하고 기분 좋은 꽃이란 국내에서 생산하는 꽃이다. 국내 생산 꽃 소비문화가 화훼농가에도 도움되고, 검역통과한 수입꽃보다 우리 건강에도 도움된다.
화훼자조금협의회는 서용일 회장을 중심으로 꽃을 사랑하는 국회의원들과 함께 더 발전하고 성장하는 국내 화훼산업을 만들어 나가기 위해 전력투구한다.
올해도 (사)한국화훼자조금협의회는 국민의힘 김도읍 국회의원(부산 강서구), 더불어민주당 민홍철 국회의원(경남 김해시갑)과 국회의원회관 제2전시장에서 가을꽃전시회를 선보여 박수를 받았다.
내년에는 초등학생을 비롯하여 청소년들이나 취약계층 등을 대상으로 꽃 키우기, 꽃다발 만들기 등의 원예 수업 시간이 더 많았으면 한다.
왜냐면 꽃은 심리·정서함양은 물론 인지, 신체, 사회 교육적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효과를 표출하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아이들의 정서 함양과 집중력, 학업성취도 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는 꽃의 기능도 확장되고 있다.
특히 홀로 계시는 어르신이나 특수아동의 심리치료에도 꽃은 필수 소재이며 꽃과 함께하는 체험활동을 통해 긍정적인 자신감을 불어넣고 있다.
지금 꽃집의 꽃을 봤다면, 나를 닮은 한 송이 꽃을 사서 일회용 프라스틱 커피 용기나 음료수병 등에 꽂아 감상해 보자. 꽃의 표정과 향기 등을 통해 분명 몸과 마음이 편안해지는 드라마틱한 변화를 느낄 것이다.
<한국화훼자조금협의회와 공동기획한 "세월이 흘러도 변함없는 꽃의 가치" <월간 팜앤마켓매거진 2024년 12월호>에서 더 자세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