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 트렌드 호박 재배면적은 꾸준한 수요 증대에 힘입어 증가해 왔으며, 평년 재배면적은 9,363ha에 달한다. 평년 노지재배 6,380ha, 시설재배 3,004ha로 노지재배면적이 약 68%를 차지하고 있다. 호박 노지재배면적은 2000년까지 4,500ha로 시설재배면적과 비슷했지만, 단호박의 수요가 확대되면서 2015년 7,250ha까지 증가했다. 시설재배 면적은 감소세를 보이다가 2014년부터 강원지역 등에서 시설 지원 사업 영향으로 증가하고 있다. 단호박 재배 면적은 2005년 621ha에서 2014년 2,004ha로 연평균 17% 가량 확대된 반면, 늙은 호박은 대체로 감소세를 나타내고 있다. 호박 1인당 연간소비량은 2000년 5.1kg에서 수요 확대로 인해 2009년 7.2kg까지 증가했고, 이후 다소 감소하다가 2015년 7.3.kg으로 회복했다. 소비자의 애호박 구입주기는 1~2주에 1회로 오이보다 구입횟수가 많은 편이다. 주 구입 품종은 애호박(69%), 단호박(12%) 순으로 나타나며 단호박 구입의향이 높아 소비 확대가 예상된다. 육성 동향 애호박으로 주목받은 품종은 페포종인 ‘주키니’와 동양종 호박인 ‘서울다다기’의 종간교잡 후대
나리의 꽃말이야기 우리 꽃 나리는 흔히 백합(百合)으로 불린다. 이는 한자문화권에 속하여 오랜 기간 동안 영향을 받아왔기 때문이다. 순수 우리말로는 나리라고 하며 보통 나라마다 식물 등의 표기에 자국의 고유 명칭을 사용하는 전례에 따라 백합을 나리로 통일하는 것이 좋다. 나리의 꽃말은 순결이라고 알려져 있는데 이것은 성모 마리아가 그리스도를 잉태했을 때 전해진 꽃이 나리이기 때문이다. 중세 유럽에서는 기독교의 영향으로 순결과 동시에 선행을 상징하여 왕, 귀족, 가문의 문장, 성직자 복장, 교회 장식에 이용했다. 프랑스의 상징이기도 한 플뢰르 드 리스(fleur-de-lis)는 기독교의 3위일체를 상징하는 동시에 기독교의 수호자인 왕을 상징했다. 기독교를 수호한다는 의미가 있어 중세 유럽의 왕가나 귀족가문의 문장에도 많으며 캐나다 퀘벡주는 프랑스 문화를 상징하는 흰 나리가 주(州)의 꽃이다. 우리나라에서 나리는 주로 책거리도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이는 학문에 정진하여 관직에 오르기를 기원하는 마음이 담겼기 때문이다. 나리라는 호칭은 당하관의 벼슬아치를 높여 부르던 말로 발음이 똑같기 때문으로 생각되며 이런 상징성은 우리나라에만 있다.팜마켓매거진 7월호 게
해외로 출장을 가거나 파견근무를 나가게 되면, 식품을 구매하러 재래시장 또는 대형 마트에 간다. 필자는 현재 국제공동연구 수행을 위해 영국에서 생활하고 있다. 영국 채소 시장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주기적으로 우리나라 시장에 나오지 않는 다른 새로운 채소가 없는지 조사하고, 상점에서 가장 많이 팔리면서 진열에 신경 쓰고 있는 채소가 무엇인지를 확인하고 있다. 영국 상점의 채소 진열대에는 우리나라에서도 흔히 접할 수 있는 일반적인 채소(가지, 토마토, 고추, 양상추, 어린잎 상추, 브로콜리, 양배추, 꽃양배추, 순무, 콜라비, 비트 뿌리, 시금치, 아스파라거스, 셀러리, 당근, 파슬리, 마늘, 양파, 리크, 감자, 허브류 등)와 이 나라에서 주로 먹는 채소(버터헤드 상추, 방울양배추, 페넬, 아티초크, 샬롯 등)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우리나라와 차이가 있는 것은 아스파라거스가 채소 진열대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는 것이고, 비트 뿌리도 생채와 식초에 절인 가공 상태로 용도에 맞게 판매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다양한 종류와 화려한 잎이 특이한 사보이(savoy) 양배추, 그리고 꽃양배추가 눈에 들어온다. 또한 우리나라에서는 별로 보이지 않는 아티초크,
원산지 및 내력 롱빈(Long bean) 원산지는 아프리카이지만, 아프리카 지역에선 사라진 작물로 기록되어있는(Lost crops of Africa: volume Ⅱ Vegetable, 2006 수록) 특이한 역사를 가진 작물이다. 현재 주로 재배되는 지역은 남아시아, 동남아시아 및 중국 남부의 따뜻한 지역에서 많이 재배되며 품종도 개발되고 있다. 이름에서 느껴지는 것처럼 긴 콩인 롱빈은 Vigna unguiculata subsp에 속하는 콩과 작물로 중국에서는 ‘장두’라고 불리며 Yard Long Bean, Asparagus Bean, Snake Bean, Chinese Bean 등으로 불린다. 보통의 콩과 작물과는 다르게 미숙 꼬투리를 이용하는 롱빈은 꼬투리가 30~70cm까지 자란다. 보통 30~50cm의 미숙과를 수확하며, 맛은 단백하고 단맛이 많으며 쫄깃쫄깃한 식감을 가지고 있다. 롱빈 꼬투리는 비타민 A와 C, 티아민, 리보플라빈과 단백질 등 영양소가 풍부한 반면 지방과 콜레스테롤 함량은 낮은 건강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중국요리에서 많이 이용되며 주로 볶음, 수프, 샐러드 등의 요리에 많이 이용된다. 또한 잎도 절임 또는 쌈 채소로 이용이 가능하다
패션프루트(학명: Passiflora edulis Sims, 영명: Passion fruit)는 시계꽃과 시계꽃속에 속하는 강한 다년생 덩굴식물로 남아메리카가 원산이다. 시계꽃속 식물은 약 500여종에 이르지만 식용으로 쓰이는 것은 약 10여종 정도이고 대부분은 관상용으로 쓰이고 있다. 1610년경 스페인 선교사가 남아메리카 여행 중에 그 꽃을 보고 그리스도가 십자가에 걸린 자세라고 이름 붙여진 일에서 ‘그리스도 수난의 꽃’ 즉, ‘Passion flower’의 이름이 생겨났다고 한다. 학명 ‘Passio’는 수난, ‘flora’는 꽃을 의미한다. 현재는 세계각지의 열대 및 아열대지방에 걸쳐 넓게 분포하고 있다. 패션프루트는 호주, 하와이, 스리랑카, 대만, 남아프리카, 케냐, 뉴질랜드 북부 등지에서 생산되고 있고, 일본에는 메이지 시대에 도입되어 현재 오키나와, 가고시마 등지에서 주로 재배되고 있다.팜마켓매거진 7월호 게재 자색종 패션프루트 과실 자색종 패션프루트꽃 재배 조건 패션프루트는 덩굴성 다년생 목질 초본으로 수세가 강해 해마다 5m 이상 자라며 줄기의 안쪽은 비었고 오래되면 굳어지지만 포도처럼 목질화 되지는 않는다. 뿌리는 얕고
생산·출하구조 변화 우리나라의 1인당 복숭아 소비량은 2008년 3.9kg에서 2015년 4.7kg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와 함께 재배면적도 지속적으로 증가되어 2017년 전국의 복숭아 재배면적은 20,578ha로 추정되고 있다. 특히 유모계 복숭아의 면적은 2008년부터 2017년까지 10년 동안 42%P가 증가하했고, 전체 복숭아 면적의 83%를 차지한다. 이에 반해 천도계 복숭아의 재배면적은 2008년부터 2017년까지 10년 동안 24%P증가했고, 전체 복숭아 면적의 17%를 차지한다. 통계청의 농림어업총 조사결과에 따르면 2015년 기준 복숭아 농가의 품종별 도입비중은 조생종 4.0%, 중생종 33.9%, 만생종 35.3%, 기타 품종 26.7%이다. 특히 2015년과 2010년을 비교하면, 만생종이 감소하고 기타 품종이 증가했음을 알 수 있다. 조생종을 도입한 농가는 월봉조생>창방조생>미홍조생 순으로 많다. 또한 중생종을 도입한 농가는 황도>천황>미백>기도백도>월미복숭아>신백도>백봉>대구보>수홍 순으로 많다. 만생종을 도입한 농가는 백도>천중도백도>유명>레드골드>
부바르디아, 장미, 수국, 안개, 작약, 스타티스, 리모늄, 하이페리쿰, 베로니카, 애린지움 등 120여 품종이 화훼농가들의 마음을 설레게 했다. 종묘생산 및 수출입 전문업체 국제화훼종묘주식회사(대표 유재일)에서는 6월 21~23일까지 광주광역시 광산구 우산동에 위치한 국제화훼종묘 농장에서 ‘화훼품종전시회’를 개최했다. 전국에서 꽃농사 짓다는 화훼농가들이 대부분 전시회를 찾았는데, 화훼농가들은 “돈 되는 화훼품종을 발굴한다는 것이 쉽지 않지만, 국제화훼종묘에서 보급하는 새로운 품종들은 대부분 소득향상에 도움이 되고 있다. 또 국내 업체 중 국제화훼종묘처럼 다양한 품종을 전시하는 업체가 거의 없다. 전시회를 통해 화훼소비 트렌드를 접할 수 있고, 이번 전시에도 틈새시장을 공략할 수 있는 신품종들이 눈이 보였다”고 전시회 관람평을 밝혔다. 유재일 대표는 무조건 품종을 판매하는 것이 아니라 시장에서 돈이 될 수 있도록 좋은 품종들을 적정량만 공급한다. 이번 전시회에도 노지와 하우스 재배에서 생산되어 좋은 가격을 받은 품종들이 선보였다. 유재일 대표는 “요즘 수국의 색깔도 기존 핑크나, 보라, 화이트계통 등의 웨딩꽃에서 벗어나 꽃다발 등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다
수박의 생산과 소비구조 변화 우리나라의 수박 재배면적은 지속적으로 증가되어 2015년 전국의 수박 재배면적은 15,185ha이었다. 수박의 재배면적은 시설재배와 노지재배가 약 8:2 비율을 유지하고 있다. 주요 재배지역은 2015년 충남과 경남지역이 전체 수박 생산면적의 52%를 차지하고, 여기에 전남과 경북을 합치면 전체 재배면적의 약 81%가 생산되고 있다. 다만 충남과 경남은 시설수박이 주를 이루고 있는데 반해, 전북지역과 경북지역은 노지수박의 주산지를 형성하고 있다. 이 기사는 <팜&마켓맷거진 6월호에 자세히 게재>
고추 재배지에서의 병해충 발생은 일반적으로 토양 내 염류 과다 집적에 의한 양분 원소 간 길항작용이다. 특정양분의 과·부족 현상이 야기되어 작물 자체의 병에 대한 저항성이 약해지면서 더욱 심하게 나타난다. 또한 연작으로 인한 토양 내 병원균의 밀도 증가가 역병, 풋마름병 등 토양전염성 병해의 발생을 증가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한편, 고추는 재배 작기가 길고 생육 최성기에 여름철 장마를 경과해야 하는 등 각종 병해충에 노출되는 기회가 많은데 비해 농촌 노동력이 부족하여 적기에 방제하지 못하는 것도 병해충 피해가 심해지는 큰 원인이 된다. 병해 진단방법 고추에서 발생하고 있는 병해는 진균병, 세균병, 바이러스병을 포함하여 모두 40여종이 알려져 있다. 곰팡이병인 역병, 탄저병, 잿빛곰팡이병, 묘잘록병 등은 병든 부위에 병원균의 균사, 포자, 균핵 등이 노출되어 쉽게 구별이 가능하다. 무름병과 같은 세균병은 곰팡이병과는 달리 물러 썩으며 병환부에서 고약한 냄새가 나고 습기가 많을 때는 세균점액이 누출되는 특징을 갖고 있다. 풋마름병도 세균병으로 병든 식물체의 줄기를 잘라보면 줄기중간에 갈색으로 변색한 테두리가 있어 쉽게 구분이 가능하다. 바이러스병은
마늘의 특성 마늘은 양파, 파, 부추, 리크, 샬롯 등과 같은 백합과(Allium family)이다. 학명은 Allium sativum로 allium은 ‘비닐 줄기의 식물속들’ 그리고 sativum는 ‘재배된다’라는 뜻이며, 영명은 garlic이다. 원산지는 중앙아시아로 추측되며, 마늘에 대한 역사적 기록은 기원전 4,000년경 이집트의 문명화가 진행되면서부터 남아 있다. 우리나라에는 삼국유사에서 곰이 마늘과 쑥을 먹고 사람이 된 단군신화가 전해지고 있다. 2015년 마늘의 재배면적은 20,638ha이며, 생산량은 266,272ton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주요한 양념 채소 중 하나이다. <팜&마켓매거진 5월호 게재>에서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서양에서도 마늘은 건강식품으로 인식되어 대형슈퍼마켓에서 판매> 생육에 적합한 기온은 약 18~20℃이고, 대표적인 월동작물이다. 마늘은 월동하는 생태에 따라 한지형과 난지형으로 구분한다. 한지형 마늘은 가을에 씨 마늘을 심으면 뿌리가 나왔다가 월동 후 봄에 싹이 나오는 특징이 있고, 난지형 마늘은 뿌리가 나오는 동시에 싹이 나와 겨울에 휴면에 들어가기 전까지 4~5매의 잎이 나온 상태로 월동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