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에서 가장 슬픔을 간직한 꽃 중의 꽃은 할미꽃이다. 우리나라 전 지역의 산과 들, 묘지에 자생했는데, 지금은 전시회나 전문적으로 기르는 곳이 아니면 자생지에서는 보기가 어려운 꽃 중에 하나가 되어버렸다. 할미꽃은 미나리아재빗과 여러해살이 식물로 老姑草노고초, 白頭翁백두옹이라 부르기도 하며 우리나라 특산식물 중의 하나이다. 키는 보통 40㎝ 내외로 자라며 전체에 흰색의 털이 밀생한다. 잎은 5장의 잔잎으로 이루어진 깃털 모양의 겹잎으로 잎자루는 대체적으로 길다. 할미꽃은 4~5월 적자색으로 개화하는데 이것은 꽃잎이 아닌 꽃받침으로 “꽃잎 같은 꽃받침을 갖은 식물로 꽃받침은 붉은 자주색을 띤다.” 꽃잎은 없다. 포엽의 중심에서 나온 긴 꽃줄기의 끝에 1송이씩 핀다. 꽃은 갈래꽃이지만 통모양의 종형으로 꽃 덮이 조각[花被片]은 길이가 35㎜, 너비가 12㎜ 정도로 6장이고 겉에는 털이 있지만 안쪽에는 없다. <팜&마켓매거진 4월호>에서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노인의 텃밭 활동이 치매 예방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단기간의 텃밭 활동에 참여하는 것만으로도 노인들의 인지기능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건국대학교 박신애 교수 연구팀은 운동 강도가 평균 3.5METs 인 텃밭 활동 프로그램을 1회기 65세 이상의 노인 41명에게 제공한 후 혈액 내 인지 관련 지표들의 변화를 측정했다. 텃밭 활동은 주로 저-중간강도의 신체활동으로 땅파기, 비료 주기, 땅 고르기, 모종 심기, 물주기 등이었다. 총 20분간 수행했다(그림 1). 그 결과, 텃밭 활동에 참여한 노인들의 혈액 내 인지기능과 관련된 지표인 뇌유래신경영양인자BDNF와 혈소판유래성장인자PDGF가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팜&마켓매거진 4월호 p77, 표 1). 인간의 노화 과정에서 뇌의 기능과 기억력이 저하되는데, 특히 40세 이후부터 10년마다 약 5% 정도 뇌의 부피와 무게가 감소한다고 한다.해마는 뇌의 내측 측두엽에 위치하고 있는 기관이다(그림 2). 주로 기억력과 관련이 있는데, 해마가 위축되면 기억력 및 인지기능의 저하, 알츠하이머와 같은 치매의 발병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혈액 내에는 뇌유래신경영양인자BDNF
박태기나무의 꽃은 잎이 나기 전에 꽃부터 예쁘게 핀다. 여러 개의 꽃이 가지뿐 아니라 줄기에 빡빡하게 모여 달려 꽃모양이 마치 밥풀을 닮아 ‘밥티기’란 말에서 유래됐다고 알려져 있다. 꽃자루 없는 꽃이 7~8개 정도 모여서 나뭇가지를 덮어 버리며 꽃잎은 나방 혹은 구슬을 닮은 듯하다. 낙엽활엽관목 콩과 식물로 추위에 잘 견디고 햇빛을 좋아하는 식물이다. 박태기꽃 채취는 4월 중순 경에 봉오리 진 것을 채취해야 꽃차 색이 예쁘게 나오고, 활짝 핀 것은 꽃차 우릴 때 색이 별로 예쁘지 않고 바로 꽃이 하얗게 된다. 박태기꽃차 만드는 방법 1. 꽃 채취 및 위조꽃 피기 직전 봉오리 상태의 꽃을 채취하여 꼭지를 떼어 낸다. 2. 꽃 다듬기꽃의 아린 맛을 없애기 위해 소금물에 살짝 담갔다가 건져 물기를 빼준다. 3. 초벌덖음덖음 팬을 1단에 놓고 한지를 깐 뒤 물기를 뺀 꽃봉오리를 올려놓고 장갑 낀 손으로 살살 저어주면서 덖음한다. 3-1. 꽃 식히기꽃색이 약간 짙어지면 팬 밖으로 내어 놓고 재빨리 식혀준다. 다시 팬에 꽃을 얹어 놓고 꽃이 까슬까슬하게 수분이 거의 없어질 때까지 온도를 낮춰가며 덖음과 식힘을 반복한다.4. 고온덖음꽃차의 맛과 향을 좋게 하기 위해 고
텃밭에서 재배한 채소를 이용하여 새순 페스토와 샐러드를 만든다.페스토는 주로 이탈리아 리구리아주 제노바에서 생산되는 바질을 빻아 올리브 오일, 치즈, 잣 등과 함께 갈아 만든 전통 소스이다. 페스토는 토마토 소스와 함께 오늘날 이탈리아 요리를 대표하는 상징성을 띤 소스이다.페스토에 빵을 찍어 먹기도 하고, 페스토를 다양한 전채 혹은 메인요리에도 곁들여 내기도 한다.또 피자에 페스토를 발라 굽거나 다른 소스와 섞는 등 그 활용법이 늘어났다.그러나 페스토에 뜨거운 열을 가해서 요리를 하면 페스토 고유의 맛과 향이 사라지니 주의해야 한다. ❶ 잣을 팬에 볶아 준비해둔다. ❷ 볶은 잣과 새순을 절구에 넣고 짓이기 듯 부드럽게 찧어 준 후 들기름을 넣어 주며 서로 섞이게 저어준다. ❸ 섞인 페스토에 소금을 넣어주며 간을 맞춘다. ❹ 새순을 흐르는 물에 잘 씻은 다음 잘라 물기를 빼 둔다. 두부는 소금을 뿌려두어 물기를 제거 한 다음 으깨어 헝겊으로 싸 물기를 짜준다. ❺ 손질한 샐러드와 제철과일을 곁들여서 미리 준비해 둔 새순 페스토와 함께 버무리면 샐러드 완성!
네덜란드의 직업과 관련된 교육 훈련 제도에 대해 우선 살펴보자. 네덜란드는 중등단계에서부터 예비 직업교육(VMBO)을 실시한다. 예비 직업교육(VMBO)는 12~16세까지 4년간 지속되며, 고교 직업교육을 위한 준비에 주된 목적이 있다. 고교단계의 직업교육은 MBO로, 16세 이상의 학생 및 성인을 대상으로 4수준(MBO 1~4)의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준별로 교육기간이 다르게 구성되어 있는데 MBO 1수준은 보조훈련assistant training으로 약 6개월~1년간 지속된다. MBO 2수준은 노동시장 진입을 위한 최소한의 기본자격이기 때문에 이 수준을 확보하지 못한 청년을 위한 별도의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MBO 2수준은 기본직업교육으로 2년간 지속되는 게 일반적이다. MBO 3 수준은 전문교육으로 3~4년간 지속되는데, MBO 4 수준은 중간관리 또는 전문가 수준으로 3~4년간 지속된다. 한편 네덜란드의 고교 직업교육(MBO)은 직업훈련Vocational training, BOL 또는 BPV과 도제 훈련apprenticeship training, BBL의 특성 유형에 따라 운영된다. 직업훈련BOL은 전일제 교육으로 학교에서 주간 동안에 이루어지는
추위에 강해 국내 기후에 적합, 올해 묘목 보급레몬은 산도가 높을수록좋은 품종인데,‘제라몬’은 산 함량이8.5%로 기존 품종보다1% 이상 높고, 향이 진하다.당도는 11브릭스다. 껍질과 과육은 옅은 황색이며, 과즙이 풍부하다.우리나라는 제주 지역에서 레몬 재배는 약 10.4ha(2017. 12 기준)이며, 대부분 유럽의 ‘유레카’와 ‘리스본’ 품종이다. 국내에서 유통되는 레몬의 90% 이상은 외국산이다. 주로 미국과 칠레에서 약 1만 6천 톤(2017년)을 수입하고 있다.외국산 레몬을 대체하기 위해 농촌진흥청은 2000년대 중반부터 품종 연구를 시작해 우리나라 1호 레몬 품종 ‘제라몬’을 개발했다. 2007년 교배해 2015년 선발한 ‘제라몬’은 기존 품종보다 추위에 강해 국내 기후에도 알맞다. 올해부터 보급을 시작하는 ‘제라몬’ 묘목의 구입 관련 문의는 농촌진흥청 감귤연구소로 하면 된다. 농촌진흥청은 국산 레몬 품종의 다양화를 위해 ‘한라몬’과 ‘미니몬’ 품종을 개발했다. 이들 품종은 통상실시 후 2021년부터 묘목을 보급할 예정이다.<팜&마켓매거진 >4월호에서 국산 육종 품종 레몬을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치유농업은 ‘농업이나 농촌자원 또는 이와 관련된 활동 및 산출물을 이용한 치유서비스를 통해 국민의 심리적, 인지적, 신체적 건강을 도모하는 산업 및 활동’을 말한다. 치유농업은 이미 네덜란드, 벨기에, 이탈리아 등과 같은 유럽의 농업선진국들을 중심으로 활성화되어 왔다.치유목적을 위해 농업에 참여하는 다양한 대상자들의 정신적, 신체적 회복뿐 아니라 직업 재활에 이르기까지 그 활용범위가 넓고 다양하다. 최근 우리나라도 농업의 생산적 기능과 농촌/농업 체험 및 관광을 넘어 농업의 치유적 기능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세종시에 거주하는 어머니와 자녀(7세 이하)의 총 24가정을 대상으로 세종시에 위치한 농장에서 치유농업 프로그램을 제공했다. 총 6회기의 본 치유농업 프로그램은 주 1회, 회기당 90분으로 운영했다.농장에서 어머니와 자녀가 한 팀이 되어 주로 가족텃밭베드 만들기, 모종심기, 종자파종, 수확하기, 식물채집하기, 수확물을 이용한 요리하기 등의 활동에 참여했다. 매 회기 치유농업 프로그램은 자녀의 정서지능 향상을 위해 유아정서지능 구성요소모형2)를 기반으로 했다. 어머니들을 위해 부모 교육기법 중 부모와 자녀 대화기법을 적용했다. 본 어머니
왁스플라워는 호주 남서부의 숲과 황무지의 모래가 섞인 토양에서 여름에 비가 거의 내리지 않는 지중해성 기후에서 자생하는 식물이다. 배수가 잘 되는 사양토에서 잘 자라며, 온난한 기후와 일사량이 많은 지역에서 생장이 잘 된다. 지하수위가 높은 곳이나 습해지기 쉬운 토양에서는 뿌리가 썩기 쉬우므로 암거배수를 하거나 이랑을 높이 세워 재배하되 이식이 어려운 편이므로 묘를 정식할 때는 뿌리가 상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정식 초기에는 건조하지 않도록 물 관리를 충분히 하고, 활착이 된 후는 건조하게 관리하나 심하게 건조되면 식물이 피해를 받아 회복되기 어려우므로 주의해야 한다. 왁스플라워는 봄부터 여름에 충분한 햇빛을 받아 왕성한 영양생장을 한 가지에서 꽃눈분화가 빠르고 꽃수가 많아지지만 시설이나 차광으로 인해 광이 부족하여 생장이 충실하지 못한 경우에는 꽃눈분화도 느리고 착화수도 적어진다. 생육 온도는 15~30℃로 온도가 높을수록 생장이 왕성하지만 지역에 따라서는 수형관리를 위해 적심이나 전정을 해줘야 한다. 국내에서는 노지 월동이 어려우므로 하우스나 온실에서 재배하는 것이 좋고, 겨울에 최저 5~10℃ 이상만 유지하면 꽃을 생산할 수 있다. 저온(20/14℃
복과 장수, 부귀영화를 가져다준다는 복수초는 미나리아재빗과 여러해살이 초화류이다. an Amur Adonis라는 영명을 갖고 있으며 다른 이름으로는 꽃이 마치 금빛 술잔처럼 생겼다 하여 側金盞化측금잔화 라고 부르기도 한다. 또 눈색이꽃, 얼음꽃, 복풀 등으로 부르고 있으며 중국에서는 설연화, 일본에서는 원일초元日草라고 한다. 내한성이 강해 새해에 가장 먼저 피는 야생화 중의 하나이다. 보통 키는 20~30cm 내외이며 햇볕이 잘 드는 낙엽활엽수림의 습기가 있는 양지쪽에 자생하며, 3~4월 사이 노란색 꽃을 피운다. 꽃받침은 좁고, 길고, 많으며(평균 8개) 꽃받침의 길이가 꽃잎보다 길거나 거의 같다. 꽃이 잎보다 먼저 피고 꽃잎이 짧다 보니 온통 수술 투성이처럼 보이기도 한다.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복수초는 복수초(연노랑복수초)를 비롯해 세복수초(은빛복수초), 애기복수초 등 3종이 자생하고 있으며(학자에 따라 조금씩 상이 함) 뿌리는 흑갈색의 잔뿌리가 많다. <팜&마켓매거진 3월호>에서 복수초의 이야기를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 Phase 2 기초 기술 학습 (Learning basic employee skills)맞춤형 과정과 MBO-1 교육 모두 가죽 세공 사업에 대한 기초기술교육이 이루어진다. 맞춤형과정에서는 이 기간 동안에 참여자들이 함께 자신의 전문분야를 선택하기 위해서 그들의 흥미분야가 어디인지를 탐색하는 시간을 갖게 될 것이다. 이러한 기초기반 위에 학습 경로는 참여자의 수준과 연계하여 직업기술로 전환하게 될 것이다.2단계의 교육기간은 3개월에서 9개월까지 다양하게 구성된다. 종사자들의 기술과 직업에 대한 설정 방향에 따라 MBO-1 과정의 하나를 선택하게 되는데, 이는 훈련자격을 갖춘 조교Labour Qualified Assistant에 의해 정보가 제공되고 있다. MBO-1의 다양한 단계들은 2년간의 교육이 이루어지며, 이는 학위과정이다. 만약 기초기술이 충분하게 습득이 되면 3단계로 넘어가게 되며, 2단계와 3단계는 병행할 수 있다. ▶ Phase 3 작업 기술 학습 (Learning professional skills)3단계 동안, 이러한 작업들은 참여자들의 속도에 맞추어 그리고 감독자의 지도하에 독립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참여자들의 역량은 그들 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