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6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병해충 방제 & 잡초

학명 : Crepidiastrum denticulatum (Houtt.) Pak & Kawano

 

균핵병

菌核病, Sclerotinia rot

 

증상

토양과 접하는 잎줄기 아래쪽과 뿌리 위쪽에 발생하여 잎줄기와 뿌리가 썩는다. 지상부 잎은 시들고 점차 말라 죽게 된다.

발병초기에는 뿌리에 회백색의 균사가 나타나고 점차 진전되면 검은색의 쥐똥 같은 균핵을 형성한다.

 

병원체 : Sclerotinia sclerotiorum (Lib.)

de Bary

진균계 > 자낭균문 > 두건버섯강 > 고무버섯목 > 균핵버섯과 > 균핵버섯속Sclerotinia에 속한다.

병원균은 대표적인 토양 서식균으로 분생포자는 만들지 않고 균사가 뭉쳐 쥐똥 같은 검은색의 균핵을 형성한다. 균핵의 크기는 2∼7㎜이고, 큰 것도 있으나 대부분 크기는 일정하지 않으며 모양도 불규칙하다.

 

발생생태

3월과 11월에 시설하우스에서 발병주율 20~30% 정도 발생하였다. 병원균은 균핵의 형태로 토양 속에서 월동하거나 균사의 형태로 병든 줄기 혹은 지하부 뿌리에 묻어 있다가 다음 해의 전염원이 된다.

 

균핵은 기주 작물이 없어도 수년간 생존이 가능하다. 균사의 생육이 매우 빨라 주로 균사를 통해 인접한 작물로 확산하여 토양 전염하는 병해다.

 

방제 방법

• ‌병에 걸렸던 곳은 피하거나 토양을 소독한 후 재배한다.

• ‌배수를 좋게 하거나 배수가 잘 되는 토양에 재배한다.

• ‌연작을 피하고 다른 작물로 윤작한다.

• ‌발병 초기에 병든 포기는 일찍 제거한다.

• ‌등록된 전용 약제는 없다.

 

‌다음 호에서는 <이고들빼기 점무늬병>에 대해 연재한다. * 이 기사는 팜앤마켓매거진 2025년 8월호에서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C) 팜앤마켓. 무단전재 재배포금지





포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