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입 동향
단호박 수출량은 2015년부터 2020년까지 평균 2천 3백만 톤을 유지하였으나, 최근 2년간 코로나19 등으로 인한 수출국의 수요가 줄어들어 감소 추세로 전환하였다.
특히, 2022년에는 전년 대비 46%가 감소한 579톤 이였는데 이는 작황부진으로 국내 생산량이 감소하고, 주 수출국인 일본의 소비 부진으로 수요가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단호박 수입량은 2010년 이후 연평균 2% 증가 추세이며, 평년(’17~ ’21) 2만 5천 톤이었지만 2022년 주 수입국인 뉴질랜드의 작황 부진에 따른 생산량 감소로 전년 대비 24% 감소한 2만 톤이었다.
식품적 가치
단호박은 일반 호박에 비하여 영양가가 높다. 당질 함량도 호박에 비하여 높은 편이며, 밤처럼 타박한 맛이 강하여 식미가 좋다.
특히 단호박에 많이 들어있는 β-카로틴은 우리 몸속에서 비타민 A의 효력을 나타내는데 항암효과는 물론 감기예방과 피부미용, 변비예방 등에 효험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단호박이 가진 당분은 소화흡수가 잘 되기 때문에 위장이 약한 사람이나 산모 등 회복기의 환자에게도 좋다.
이 밖에 비타민 B1, B2, C 등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비타민의 보고라고 인식될 정도이며, 녹황색 건강채소로 각광받고 있으며 최근 국내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다음 호에서는 <생리·생태특성>에 대해 연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