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시디움Oncidium은 난 중에서도 유난히 큰 입술 꽃잎을 가지고 있다. 생김새가 무희의 치마와 비슷하다고 해서 ‘댄싱레이디Dancing Lady’ 혹은 ‘댄서Dancer’라는 애칭으로 불린다. 온시디움은 대부분 꽃대에서 작은 꽃이 모여 한 덩어리를 이루는데 이 형태를 본떠 집합체를 뜻하는 그리스어Onkos에서 유래한 ‘온시디움’ 이라는 이름을 가지게 되었다. 주로 멕시코, 아르헨티나 등 중남미 전역에 750여종이 분포하고, 소형종부터 대형종까지 다양한 크기를 가진다. 대부분 나무에 착생하지만 일부는 지생地生하여 자란다. 국내에서는 분화용으로 주로 재배하고 있으며 노란색 온시디움이 보편적이나 이외에서 분홍색, 적색 등 다양한 꽃색의 교배종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여름철 꽃이 많지 않은 시기에 화려한 꽃을 피워 사람들에게 큰 사랑을 받고 있다. 온시디움 재배기술 온시디움은 자생 지역이 매우 다양하고 광범위하며 온도에 대한 적응성이 커서 어렵지 않게 재배 가능하다. 대부분 중온성 난蘭으로 주간 25℃, 야간 15℃로 관리하는 것이 좋으나 최저온도 10~13℃에서도 월동이 가능하다. 여름철 무더위에는 온도가 30℃를 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으며 온도가 상승할
카틀레야는 화려하고 다채로운 꽃에 진한 향기를 가지고 있어 서양에서는 난 중의 여왕이라 불리며 사랑받는 난 중 하나이다. 주로 멕시코를 포함하여 중남미의 열대 아메리카 지역에 분포하고 착생란이어서 대다수가 나무의 가지나 바위에 붙어 자란다. 카틀레야 속은 오랜 기간 육종기술의 발달과 함께 근연속인 브라사볼라, 소프로니티스, 라일리아 등의 속간교배로 더욱 다양하고 매력적인 종을 포함하는 큰 군단을 이루게 됐다. 최근에는 크기가 큰 대형 카틀레야 대신 카틀레야 꽃의 화려함을 가지면서 몸집이 작은 카틀레야 육성에 관심이 증가함으로써 소형종과 미니 카틀레야 품종이 많아지고 있다. 특히나 미니 카틀레야는 주로 소프로니티스와 라일리아 속간 교배를 통해 육종된 품종이 많아 대형종에 비해 저온에 비교적 강한 장점이 있다. 번식 및 재배기술 카틀레야는 번식을 위해 분주 또는 조직배양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조직배양은 전문적인 지식을 요하므로 분주에 의해 손쉽게 번식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분주는 2년 주기로 봄과 가을철 중 개화 직후에 행하는 것이 좋기 때문에 겨울~봄에 꽃이 피는 계통은 주로 봄이 적기이고, 여름~초가을에 피는 계통은 가을이 적기이다. <팜&
카틀레야는 화려하고 다채로운 꽃에 진한 향기를 가지고 있어 서양에서는 난 중의 여왕이라 불리며 사랑받는 난 중 하나이다. 주로 멕시코를 포함하여 중남미의 열대 아메리카 지역에 분포하고 착생란이어서 대다수가 나무의 가지나 바위에 붙어 자란다. 카틀레야 속은 오랜 기간 육종기술의 발달과 함께 근연속인 브라사볼라, 소프로니티스, 라일리아 등의 속간교배로 더욱 다양하고 매력적인 종을 포함하는 큰 군단을 이루게 됐다. 최근에는 크기가 큰 대형 카틀레야 대신 카틀레야 꽃의 화려함을 가지면서 몸집이 작은 카틀레야 육성에 관심이 증가함으로써 소형종과 미니 카틀레야 품종이 많아지고 있다. 특히나 미니 카틀레야는 주로 소프로니티스와 라일리아 속간 교배를 통해 육종된 품종이 많아 대형종에 비해 저온에 비교적 강한 장점이 있다. 번식 및 재배기술 카틀레야는 번식을 위해 분주 또는 조직배양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조직배양은 전문적인 지식을 요하므로 분주에 의해 손쉽게 번식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분주는 2년 주기로 봄과 가을철 중 개화 직후에 행하는 것이 좋기 때문에 겨울~봄에 꽃이 피는 계통은 주로 봄이 적기이고, 여름~초가을에 피는 계통은 가을이 적기이다. 분주 시에는 카틀
여름피기성 품종군은 6~8월에 리드가 발생해서 다음 해 9~11월에 본엽이 5~6매에 이르면 화아분화를 시작하여 5∼7월에 개화하며 겨울철 20℃ 내외의 온도를 유지해야 한다.일반종이나 무늬종은 다습하게 관리하며, 왜성종이나 1경다화성종은 환기가 잘 되는 곳에서 관리해야만 하는데, 어느 종류나 과습 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나 관수 시 생장점이나 화아에 물이 고이기 쉬워 환기가 부족할 경우 부패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1) 일반종인도나 히말라야 등지에서 자생하는 종류로써 잎은 좁고 녹색이며, 잎의 두께는 약간 얇지만 육질화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현재 육성된 계통들은 이들 혈통을 이어받고 있어 저온에 강한 강건종이 많다. (2) 무늬종온도와 습도가 높은 지역에서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다. 따라서 재배에 고온과 높은 습도가 필요하며 약 광선을 요구한다. 잎 폭은 넓은 편이며, 포기당 잎 수는 많지 않으나 무늬가 있기 때문에 모양이 아름답다. 저온 피해를 받으면 흑점병이 발생하기 쉽고, 강한 광선 하에서는 일소현상을 받기 쉽다. (3) 왜성종태국, 말레이시아 등 해안의 석회암 지대에 주로 자생하고 있다. 소형 계통으로 엽장과 엽 폭이 짧고
파피오페딜룸은 약 70여 종의 원종이 알려져 있는데 주로 인도 북부, 중국,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뉴기니 등 삼림이 울창한 열대, 아열대 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유럽에서는 꽃꽂이용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으나 일본 등 그 외의 나라에서는 대부분 분화로 이용하고 있다.특이하고 고상한 모양과 색상으로 이 난을 사랑하는 사람들이 많아져 마니아가 생겼을 정도로 매력 있는 난 중 하나이다. 파피오페딜룸은 재배 편의상 일반종, 무늬종, 왜성종, 1경다화종으로 나눌 수 있다. 영리재배로 사용하는 대부분의 품종은 리드(신초)가 발생하면서부터 개화까지 18~24개월이 걸리며 초엽鞘葉 2매, 본엽 5~6매가 생장하면 영양생장에서 생식생장으로 전환된다.이후 성숙된 위구경(벌브)의 생장점에서 화경이 발생하고 개화한다. 생육의 최적온도는 종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다. 일반종의 교배종은 여름철 27℃ 이하의 비교적 서늘한 조건을 좋아하고, 30℃ 이상의 날이 계속되면 뿌리가 부패하기 시작하며 겨울철에는 10∼15℃ 이상에서 잘 생육하고 월동 한계 온도는 5∼10℃이다. 그러나 겨울철에도 신아의 발생 등 생육을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17∼18℃의 온도 유지가 필요하다.반면에 무늬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