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사용후 배터리 ESS 재활용 실증
도내 전기차 보급은 2013년 민간보급 사업을 시작한 후 12년 만에 점유율 10%를 돌파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전기차에 쓰이는 배터리는 주로 리튬이온 계열로 초기에는 100%에 가까운 용량을 유지하지만 충·방전을 거듭하면서 점차 효율이 떨어져 8년 이상 지나면 80% 이하로 떨어지면서 실제 주행 가능거리도 줄어든다. 배터리 수명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으로는 첫째, 0%까지 소진하거나 100%를 넘어 장시간 유지하는 것은 열화에 부담이 되므로 가급적 20~80% 구간에서 자주 충전하는 것이 배터리 수명에 유리하다. 둘째, 배터리 내부 온도가 너무 높으면 화학적 열화가 더 빨라지므로 여름철 폭염 아래 직사광선에 오래 주차하는 것은 피하는 것이 좋고 극도로 추운 날씨에는 배터리 성능이 일시적으로 떨어지고 충전 속도도 느려지므로 온도 관리가 필요하다. 셋째, 가속 페달을 자주 세게 밟아 전력을 급히 끌어 쓰면 배터리에 대한 부하가 크므로 부드러운 주행이 배터리 수명에 좋다. 넷째, 급속 충전은 배터리 수명에 상당한 부담을 주므로 AC 완속 충전을 하는 것이 좋다. 전기차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리튬이온 배터리는 폐기 시 산화코발트, 리튬, 망간, 니켈 등 위험
- 서귀포농업기술센터 김승우 농업기계화팀장
- 2025-02-17 1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