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6 (수)

  • 맑음동두천 16.7℃
  • 맑음강릉 21.3℃
  • 맑음서울 19.4℃
  • 구름많음대전 18.7℃
  • 구름많음대구 20.9℃
  • 구름많음울산 19.3℃
  • 구름조금광주 18.6℃
  • 흐림부산 21.7℃
  • 맑음고창 17.6℃
  • 흐림제주 21.1℃
  • 맑음강화 16.7℃
  • 구름많음보은 15.5℃
  • 구름조금금산 16.6℃
  • 구름많음강진군 17.5℃
  • 구름많음경주시 16.8℃
  • 흐림거제 17.6℃
기상청 제공

트렌드& 마켓

강원도 연구와 맛<13> 숙근성 약용작물(더덕, 도라지)의 변신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식물은 총 4,200여 종으로 이 중에서 약성이 강한 1,000여 종의 식물이 약초로써 이용되었다고 한다.

현재 유통되는 한약재 중 가장 많이 소비되는 것은 인삼, 감초, 복분자, 양유(더덕), 길경(도라지), 산약(마), 당귀, 천궁 등 15종이다. 15종의 약초는 최근 사람들이 많이 찾거나 약성이 다양하여 대부분의 처방에 포함되는 약재로 민간요법에서도 많이 이용된다.

 

더덕, 도라지 등 숙근성 약용작물은 지역 특화품목으로 브랜드 가치가 높으며, 특히 강원특별자치도는 최대 생산지이다.

 

더덕, 도라지는 주로 뿌리를 활용하고, 2~3년간 재배하여야 품질과 수량이 우수하므로 타작물에 비해 수확 소요 기간이 길어 자본회수가 늦다. 그러나, 최근 순(새싹)작물(인삼, 보리, 브로콜리, 땅콩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이 밝혀지면서 건강식품 소재로 활용이 증가될 뿐 아니라 농가의 신소득 작물로 기대되고 있다.

순(새싹)은 재배기간이 짧고 시설재배를 통해 연중 균일한 품질의 농산물 생산이 가능한 장점과 다양한 효능도 기대되어 산업적인 효율성과 투자 가치가 높은 장점이 있다.

 

강원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은 산채연구소, 국립농업과학원, 청태산농장과 공동연구를 통해 숙근성 약용작물을 활용한 생산·소비모델 개발 과제를 수행하였다. 산채연구소에서는 숙근성 약용작물(더덕, 도라지) 순 표준 재배 매뉴얼을 개발하여, 노지에서 더덕순을 생산하기 위한 적정 수확은 4월 하순~5월 중순으로 지상부 20cm에서 1~2회 수확하고, 노지 도라지순은 지상부 20cm에서 1회 수확을 할 경우 뿌리와 순 모두 이용이 가능하다는 결과를 제시하였다.

 

국립농업과학원 기능성식품과에서는 더덕과 도라지순의 영양, 기능성분을 분석한 결과, 더덕 순의 비타민 C 함량은 뿌리에 비해 약 10배 높은 함량을 보였고, 더덕 순에는 루테인과 베타카로틴이 확인되었다.

 

또한 순이 뿌리에 비해 총폴리페놀은 3.5배, 총 플라보노이드는 약 19배 높은 함량을 보였다. 더덕뿌리와 순 부위 추출물은 처리농도(100, 200 ug/mL) 의존적으로 지방구 생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라지 순의 비타민 C 함량은 뿌리에 비해 약 1.8배 높았으며, 도라지순의 주요 카로티노이드는 루테인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더덕, 도라지순의 눈 건강, 뼈 건강 및 항비만 효과도 확인되어 특허출원하였다.

 

농식품연구소에서는 활용가치가 높은 더덕, 도라지, 땅두릅을 이용하여 가공품을 개발하였다. 연중 저장가능한 건나물은 더덕, 도라지, 땅두릅을 100℃에서 1~5분 데침후에 건조-유념-건조 과정을 거쳐 제조하였다. 레토르트 제품으로는 순에 비빔장(고추장, 간장, 된장베이스)을 넣은 비빔소스, 도라지순, 더덕순, 땅두릅잎을 포함한 약선나물밥과 땅두릅잎을 넣은 봄담은 산나물 잡채도 개발하였다.

 

 

*이 기사는 <팜&켓매거진 2024년 5월호>에서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C) 팜앤마켓. 무단전재 재배포금지





포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