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차는 공기와 같다고 생각합니다. 기능성이 탁월하고 활용하면 더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있는 데도 소중함을 모르고 있죠. 활용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무궁무진한 산업으로 성장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자연이 준 찻잎으로 마시는 음료부터 식품 재료뿐 아니라 건축, 섬유 등 의식주 산업에 꼭 필요한 소재가 되고 있습니다.” * 이 기사는 팜앤마켓매거진 2025년 1월호에서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 이 기사는 팜앤마켓매거진 2025년 3월호에서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고품질의 사과를 생산하는 조철희 대표는 과감하게 노지 스마트과원을 조성했다. 물론 아버지의 희로애락이 담긴 사과원의 나무들을 갱신한다는 것이 쉽지 않았지만, 동안 축적된 재배노하우와 충남농업기술원의 장정식 팀장이 추진하는 신기술보급 ‘충남 미래형 노지 스마트과원’사업에 참여하면서 더 박차를 가했다. *이 기사는 팜앤마켓매거진 2025년 2월호에서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한국양봉협회(회장 박근호)와 한국양봉농협(조합장 김용래)은 지난 11일 서울 서초동 제2 축산회관 대회의실에서 미스김에게 ‘꿀벌 홍보대사’ 위촉장을 전달했다.
최예숙 회장은 “재래식 된장, 간장, 장아찌를 생산하여 판매하고 있다. 직접 만든 전통 장류와 장아찌의 식재료는 모두 이 좋은 지역에서 자란 것이다. 화학첨가물이나 방부제, 색소 등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100% 국내산 콩을 사용한다. 된장은 숨 쉬는 옹기 속에서 전통방식으로 숙성시켜 깊은 맛이 있다. 최근에는 앵두 고추장을 선보여 히트 상품이 됐다”고 말했다. *이 기사는 팜앤마켓매거진 2025년 2월호에서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작물 생육 촉진, 환경 개선, 축사 냄새 저감 등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 농가들이 선호한다. 미생물배양실에서 공급 미생물은 고초균, 유산균, 광합성균, 효모이다. * 이 기사는 팜앤마켓매거진 2025년 2월호에서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지금쯤 차산업연구소의 커피 열매는 더 통통해지고 붉어졌겠죠. 지난해 9일 촬영한 영상이 있어, 차산업연구소(소장 최정)의 농업인들과 함께하는 국산 커피산업화 이야기를 취재했다. ]
황철옥 대표는 “하우스 내의 환기가 아주 중요하다. 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보온덮개를 9시가 조금 넘으면 벗기고, 9시 40분 정도에서 10시가 되면 터널하우스의 비닐을 벗긴다. 또한 이중 하우스도 환기시킨다. 3시 정도에는 이중하우스 비닐을 다시 내리고, 4시~4시 20분이 되면 터널비닐하우스의 비닐을 다시 씌우고, 마지막으로 줄을 당겨 보온이불을 덮어준다”고 말했다. *이 기사는 팜앤마켓매거진 2025년 1월호에서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