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기후 온난화와 관련 다양한 채소종류가 도입 개발되고 있으며 식문화의 발달과 더불어 다양한 식소재의 개발이 요구된다. 아티초크는 브로콜리처럼 꽃봉오리를 먹는 채소이다. 그러나 꽃봉오리 전체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고 꽃받기라는 일부부만 주로 이용된다. 하지만 채소의 여왕이라는 별명이 붙었듯이 요리법이 다양하고 귀한 채소로 고급호텔의 요리에 등장한다. 내력과 역사 아티초크는 남부 유럽의 지중해 연안이 원산지이다. 15세기 중엽에 이탈리아에서 처음 재배됐고 그 후 16세기에 프랑스와 독일에 전파되어 재배됐다. 현재 주산지는 이탈리아, 프랑스 남부, 미국 캘리포니아주 등이다. 동양에서는 서양인들에 의해 1900년 초부터 중국에서 재배되었다. 국내에는 2000년대 초반부터 제주에서 시험재배가 이루어졌다. 작물적 특성 아티초크(artichoke: Cynara secolymus L.)는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 줄기가 1.5m까지 자란다. 여름이 되면 줄기 끝에 직경 15cm의 대형의 꽃을 맺는다. 5~6월경 꽃이 피기 전의 꽃봉오리를 수확하여 이용한다. 여러해살이 식물이지만 4∼5년간 수확한 후에는 다시 심는다. 아티초크는 연 평균기온 13∼18℃의 온화한 기후
현재 국내 아열대채소는 약 256ha 정도가 재배되고 있으며 대부분 국내에서 생활하는 외국인 근로자, 결혼 이민자 등에 의해 소비되고 있다. 향후 다양한 식문화의 변화와 함께 아열대채소의 소비는 더욱 증가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대체로 아열대채소에는 기능성 성분이 풍부하다. 그중에서도 우리가 주목해야 될 채소가 ‘파파야’이다. ‘파파야’는 맛이 부드럽고 향이 좋아 일찍이 콜럼버스에 의해 천사의 과일로 알려져 왔다. ‘파파야’하면 떠오르는 것은 오렌지색으로 잘 익은 남국의 과일로 쉽게 연상이 될 것이다. 그러나 ‘파파야’가 과일보다는 채소로서 더 많이 이용 한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는 것 같다. 파파야의 히스토리 ‘파파야’(Papaya)는 열대 아메리카가 원산지로 세계적으로 100여종이 분포하며 16세기경 스페인 탐험대 콜럼부스에 의해 남미대륙에서 발견됐다. 현재는 열대, 아열대지역에서 널리 재배되고 있다. 파파야과에 속하는 소고목이며 그 과일도 파파야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과수로 분류되지만 대형 초본성 식물의 특성을 보이며 다 익게 되면 오렌지색 열매가 달리는데 멜론을 닮아 나무멜론이라고도 한다. 과일로서의 파파야는 그 맛과 향이 부드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