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리브(학명: Olea europea L.)는 물푸레나무과에 속하는 상록교목이며 흑자색의 완숙한 열매를 수확하여 올리브 정제유의 원료로 쓰인다. 또한 그리스 신화에서부터 등장한 올리브는 인간이 재배한 열매 중 가장 오래된 열대라고 할 수 있으며 지중해 지역에서는 신이 내린 최고의 선물이라고 불리고 있다. 현재 그리스의 수도 아테네는 그리스 신화 중 전쟁의 여신으로 잘 알려진 아테나의 이름에서 따온 것인데 아테네와 아테나의 인연은 신화로 내려오고 있다. 하늘에서 그리스 땅들을 내려다보던 아테나는 지금의 아테네 주변 한 도시를 보고 감탄하여 갖고 싶어 했지만, 바다의 신 포세이돈 또한 그 도시를 탐하고 있었다. 포세이돈과 아테나의 싸움을 보던 제우스는 그 도시의 중앙에 있는 언덕 아크로폴리스로 두 신을 데려가 도시의 사람들에게 의견을 물었다. 도시의 왕이 우리 백성들에게 가장 유익한 선물을 주는 신께 이도시를 바치겠다고 말했고, 이에 포세이돈은 물이 솟는 샘을 주겠다고 하고, 아테나는 올리브 나무를 선물로 주겠다고 한다. 백성들은 일 년 내내 열매를 주는 올리브나무를 선택했고 그 도시는 아테네가 됐다고 한다. 팜마켓매거진 2월호 게재 키워드 : 지중해 보물,
가. 제주백수오의 생육 백수오 지역별 수집된 유전자원의 생육특성 엽면적은 수집종간에 차이가 있는 경향이나 괴산홍천청원제주 순으로 작은 경향이다. 또 경장은 괴산, 홍천, 제주는 비슷한 경향이나, 청원 수집종이 다소 짧은 경향이다. 지하부 생체중과 건물중은 괴산, 홍천, 제주는 비슷한 경향이었으며, 청원종이 다소 작은 경향이다. 나. 제주백수오의 품질 및 성분 제주도는 전국 약용작물 재배 면적의 5.3%를 차지한다. 제주도는 아열대 약용작물재배의 적지로 타도보다 약용작물 생육기간이 길고 표고 높이에 따라 다양한 약용작물이 자라고 있다. 제주백수오와 타지역 백수오의 Cynandione A성분 함량 비교하면, 2015년 제주테크노파크 연구보고서에서 제주산 백수오에 대한 HPLC 분석을 실시하여 제주백수오의 성분을 규명한 결과, 70% 에탄올 추출물에 대해 제주백수오는 그림1과 같은 Cynandione A 함량(12.796)을 나타냈다. 팜마켓매거진 2월호 게재 키워드 :제주백수오, 양석철 연구사, 하수오, 이엽우피소
국내 과일시장 규모 2013년 기준 국내 과일 시장규모는 약 330만톤으로, 2003년도(약 266만톤)에 비해 약 64만톤 늘어났다. 같은 기간 동안 과일 수입량은 38.3만톤에서 77.9만톤으로 39.6만톤이 늘어났다. 또 국내 과일 생산량도 2003년 227.5만톤에서 2013년에는 252.3만톤으로 24만8천톤 증가했다. 과일의 자급률역시 86%에서 76%로 10%p 하락했다. 국민 1인당 연간 과일 소비량은 2003년 55.8kg에서 2013년 63.2kg으로 7.4kg 증가하였다. 결국 과일 소비량 증가분의 약 62%는 수입과일에 차지하고 있는 셈이 된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최근 과일의 소비량의 증가는 소비품목의 다양화를 통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가정에서의 식사 빈도와 관련성이 큰 과일소비 일반적인 과일의 소비행태와 그 비중을 살펴보면, 식사 후 후식형태로 소비하는 형태가 대부분이다. 구체적으로 저녁식사 후에 86.4%, 점심식사 후에 34.5%, 아침식사 후에 34.3%가 소비했고, 식사대용으로는 아침식사용으로 취식하는 경우가 24.7%이었다. 후식의 형태로 소비되는 비중이 높은 만큼 가정 내 식사 빈도가 과일 구입 및
딸기는 세계적으로 널리 재배되는 작물로 맛과 향이 좋아 많은 사람들로부터 사랑받고 있다. 딸기가 현재 재배종(Fragaria × ananassa)으로 나오기까지는 300년이 넘는 역사를 가지고 있다. Frziér는 1714년에 칠레의 야생종 딸기인 Fragaria chiloensis를 프랑스의 식물원 관리 책임자에게 전해졌고, 이때 이미 북미로부터 넘어온 F. virginiana가 재배되고 있어 교잡이 가능했다. 현재 재배되는 딸기의 부모들인 F. chiloensis와 F. virginiana의 교잡은 프랑스 원예 학자들에 의해 처음으로 이루어졌으나 체계적이지 못했다. 체계적인 딸기 육종은 1817년 영국의 Thomas A. Knight에 의해 시작됐고 F. chiloensis와 F. virginiana 종을 교배하여 이들 중 우수한 개체를 선발하는 방법을 사용했다.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여 과실이 크고 초세가 강하며 경도가 뛰어난 품종을 육성했다. 그리고 Michael Keen은 ‘Keen’s Seedling’ 품종을 육성하여 큰 호응을 얻었다. 이 품종은 과피색이 짙은 적색이고 과실이 크고 향도 뛰어났다. 그래서 이 품종은 후대의 여러 품종을 개발하
백수오의 학명은 Cynanchum wilfordii 이며 박주가리과(Asclepiadaceae)의 식물로 은조롱, 새박풀 및 큰조롱이라는 이명을 가지고 있다. 이용부위는 덩이뿌리이며, 자양강장, 보혈, 익정, 소종의 효능이 있다. 또 병후쇠약, 빈혈, 조기백발(早期白髮), 신경쇠약, 만성풍비(慢性風痺) 등에 사용한다. 우리나라 제주도, 남부지방, 중부지방, 북부지방 산야지 산기슭 양지초원 및 해변의 비탈진 곳에 자생한다. 다년생 초본이며 덩굴성식물로서 길이 1~3m이고, 줄기는 담녹색을 띠고 시계 반대 방향으로 주변의 물체를 감고 올라간다. 줄기와 잎을 자르면 백색 유액이 나온다. 잎은 대생(對生)하며 심장형이고 표면은 농록색이며 뒷면은 담녹색으로 잎 끝은 뾰족하다. 잎 가장자리는 굴곡이 없이 밋밋하며, 엽자루는 원줄기 밑 부분의 것은 길고 위로 올라갈수록 짧아진다. 7~8월에 연한 황록색 꽃이 피며 작은 꽃들이 우산모양으로 피어 9월경에 긴 꼬투리가 생긴다. 꼬투리는 길이가 8~12cm 정도, 폭 1~1.4cm 정도의 피침형이며 그 속에는 80~100알 정도의 종자가 들어 있다. 팜마켓매거진 1월호 게재 키워드 : 백수오,자양강장,조기백발, 양석철연구사
겨울철 추운 날씨가 지속되면 실내 환기가 어렵다. 이때 꽃 장식 등 실내식물이 상대습도를 높여 건조한 실내공기를 개선해줄 뿐만 아니라 향기나 화사한 색상으로 실내 분위기 전환에도 효과가 좋을 듯하다. 요즘 거리 꽃집을 지나다보면 크고 화려하기보다는 작고 귀여운 꽃다발이나 테이블 장식을 위한 상품이 많아 쉽게 접할 수 있다. aT 화훼 공판장 내 생화매장에서 글라디올러스 이외 나리, 아마릴리스, 히야신스, 알스트로메리아, 칼라, 다알리아 등의 구근 화훼류가 출하 유통 중에 있다. 일부 아마릴리스, 히야신스 등 수입 절화도 12~15천원/속(5개 1속)으로 판매 중에 있다. 프리지아는 흰색, 노랑, 빨강, 분홍, 보라 등 다양한 꽃색과 꽃모양에 향기가 좋아 인기가 좋다. 국내에서는 주로 노란색 품종이 약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보라, 흰색, 분홍색 프리지아도 유통되고 있으며 대부분은 절화로 이용되고 있고 최근 분화도 증가되고 있다.팜마켓매거진 1월호 게재 키워드: 프리지아, 샤이니골드, 꽃시장, 구근절화류, 최윤정연구사
열대‧아열대 과수 재배 전망우리나라는 기후변화로 제주지역에서 재배되던 원예작물의 재배지가 북상하고 재배면적 또한 점차 확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그리고 최근 해외 여행객의 증가로 다양한 열대·아열대 과일을 접할 기회가 늘어나고 있으며 외식업체에서는 열대·아열대 과일을 활용한 메뉴가 개발되는 등 그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 열대·아열대 과일 수입 동향을 보면 바나나와 파인애플 수입량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나 최근에는 점차 감소하고 있다. 반면 망고, 자몽, 용과, 아보카도, 두리안, 파파야 등의 수입량은 국내 수요 증가로 급증하고 있다. 또한 신선 열대과일 수입 증가와 함께 람부탄, 리치, 패션프루트, 망고스틴 등의 냉동 열대과일 수입이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유통되는 열대 과일은 대부분 필리핀, 대만, 베트남 등 동남아시아 국가에서 수입되고, 최근에는 소비자의 요구에 맞춰 다양한 열대·아열대 과일이 국내 시장에서 흔하게 볼 수 있다. <팜&마켓매거진 1월호 게재> 키워드 : 열대, 아열대, 올리브,아보카도, 용과, 임찬규농업연구사
파중국 서부가 원산지라고 하나 아직 야생종은 발견되지 않고 있다. 알타이(Altai)ㆍ바이칼(Baikal)ㆍ키르기즈(Kirghiz) 등에서 야생하는 Allium altaicum PALL이 원종일 것이라 하나 별종이라는 것이 판명됐다. 파는 내한성ㆍ내서성이 강하며, 북쪽은 시베리아로부터 남쪽은 한대지방까지 분포되어 있다. 중국에서는 고대로부터 재배되어 왔으며, 우리나라는 중국을 거쳐 고려이전에 들어온 것 같다. 팜마켓매거진 1월호 게재 키워드 :감기 효능,담 제거, 이뇨작용 도움, 신경안정, 체력회복,납, 수은, 주석, 카드뮴, 비소 등 제거,비타민A·C 풍부
선향 김치는 5℃에서 12일 저장시 ㏗ 4.29, 산도 0.97로 나타나 숙성이 완료됐다(표 2). 미생물의 변화도 저장 12일에 총균 6 ㏒CFU/g, 6.7 ㏒CFU/g 범위로 저염 김치를 제조하는 경우, 최대 숙성에 이르는 데는 2주 정도 소요되어 유통기한 연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왕고들빼기 김치의 숙성온도별 품질은 0, 5℃ 숙성시 15일째에 ㏗ 4.3, 산도 0.93~0.94로 숙성이 완료됐다. 왕고들빼기 선향의 1차 수확 잎과 2차 수확 잎을 이용하여 김치 제조시 숙성 17일째에 ㏗는 각각 5.1, 5.0 이었고, 산도는 0.63, 0.62 범위를 유지했다.팜마켓매거진 1월호 게재
총채벌레는 최근 들어 감귤에 피해를 많이 주고 있다. 특히 볼록총채벌레는 가장 피해를 많이 주는 주요 해충이다.팜앤마켓매거진 12월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