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 / 베트남 농업 베트남의 구근류 산업 중 대부분이 카사바 산업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앞서 말했던(연재②)것처럼) 세계 카사바 시장에서 베트남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다는 것은 베트남의 카사바가 유망하다고 말하고 있다. 카사바는 베트남의 농산품 수출 품목 중 커피, 쌀 뒤를 이어 3번째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한다. 베트남은 넓은 위도(8~23ºN)에 위치함으로 열대에서 아열대 기후에 걸쳐있어 기후에 제약받지 않고 1년 내내 카사바 생육이 가능하다. 또한 베트남의 토양 특히 메콩델타 지역의 토양은 질소(N), 칼륨(K), 유기물질(Organic matter) 등이 많이 함유하고 있어 카사바 생육에 적합하고, Utisols 66%, Inceptisols 17%, Oxisols 7%, Alfisols 4%, Entisols 3%, Vertisols 2%로 다양한 토양을 갖추고 있다. 토양의 pH는 4.5~6.0으로 다양하여 카사바가 자라기에 유리하다. 이러한 베트남의 토양학적, 기후학적인 특성은 앞으로 베트남 카사바 개발 및 발전에 유리하게 작용할 것이다. 특히 36개의 속과 12개 종의 다양한 베트남의 구근류는 기술개발이 이루어질 미래에 매우 긍정적으로 작
베트남농업 베트남의 5가지 구근류 중에서도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카사바, 고구마, 감자 등에 대해 조사 분석했다. 1) 재배면적 현황 재배 면적은 그림 1과 같다. 주목할 만한 사항으로는 카사바의 재배면적이다.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바이오에너지 및 식량작물로 주목받는 추세로 재배면적이 증가하고 있다. 반면 고구마의 재배면적은 감소하고 있지만, 감자의 재배면적은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 2) 주요 재배 지역 ●카사바 2008년 당시 카사바 재배면적은 557.7천ha이었다. 지난 2000년에서 237.6천ha에서 2005년 425.5천ha, 2007년 495.5ha로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중북부산악지역, 북중부해안지역, 중부고원지역, 남동부지역에서 100천ha 이상의 카사바 재배를 하고, 그 외 지역의 재배면적은 80천ha 미만이다. 2008년 카사바 생산량은 9,395.8천동으로 2000년 1.986.3천톤에 비해 473% 증가했다. 생산량은 꾸준히 증가하여 2004년 5,820.7천톤, 2007년 8,192.8천톤으로 증가하고 있다. 북중부해안 지역이 2,808.3천톤, 중부고원지역이 2,356.1천톤, 남동부지역이 2,694
베트남 농업 Ⅱ. 베트남의 주 구근류 베트남의 총 구근류는 약 36종으로 매우 많다. 베트남 대표 구근류인 카사바, 고구마, 감자, 타로, 얌 5가지를 소개한다. 1.카사바(cassava) 학명 : Manihot esculenta 수고 : 2~3m 작기 : 약 1년 열대남부, 중앙아프리카에서 자라는 관목으로서 주로 근경부의 전분(Tapioca)을 Tapioca macaroni, 과자, 물엿, 포도당, 알코올 원료 ,약의 원료, 섬유공업, 펄프, 접착제, 화공 전분,가축 사료, 카사바의 줄기는 버섯산업 등의 용도에도 이용된다. 주로 fermented cassava (ethanol), dried cassava(cassava chip), starch tapioca의 형태로 수출한다. 베트남에서는 중부 고지, 동남부, 북부 산악지역이 주 생산지이다. 베트남은 세계 카사바 시장 수출국 2위로 수출 강국이다. 베트남에서는 주로 식량자원이나 바이오에너지 작물, 가축사료로 사용한다. <팜앤마켓매거진 3월호 게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