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박을 절임용으로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성숙한 과일을 수확한다. 이 숙도는 성숙한 과일을 수확하는 토마토, 복숭아, 포도 등은 성숙이 외관상으로 표시가 나지만 수박은 전혀 알 수 없다. 수박의 과육색을 결정하는 물질로는 적색계에서는 라이코펜lycopene, 황색계는 크산토필 xanthophyll이며, 등색계는 라이코펜, 카로틴carotene, 크산토필 3가지 물질이 공존해서 나타난다. 수박에 포함된 당 중 미각으로 느끼는 자당이 과일 성숙에 따라 증가한다. 성숙하면 과육은 연하게 되고 치감이 생긴다. 성숙 과일의 과육 경도, 치감은 품 종 간의 차이, 재배 시기, 성숙의 진도, 수확 후의 일수등에 따라 달라진다. 성숙이 진행되면 종자 부위부터 연해져 치감이 소멸하고 심하면 조직이 붕괴되어 과숙된다. 미니수박은 대형과에 비해 과가 작고 과피가 얇아 성숙기 온도에 영향을 많이 받아 고온기에 재배할수록 성숙일수가 짧아진다. 수확기 수박의 변화 수분부터 성숙기까지의 과육은 수분기가 적고 단단하며 치감이 전혀 없다. 성숙하면서 수분이 많아져 성숙과의 수분 함유율은 약 90% 이상으로 된다. 완숙과를 수확하여 장기간 저장하여 두면 과육조직이 붕괴되어 대부분 수분인
미니수박 토경재배 시비관리 시비량 결정은 토질의 종류, 비옥도, 전작물의 종류, 기상조건 등을 고려해서 결정하여야 되나 밑거름을 과다하게 넣을 경우 과품질을 저하하는 원인이 되므로 웃거름 위주로 관리하는 것이 유리하다. 초세가 떨어진 후에 추비를 주면 회복이 늦어지므로 초세가 떨어지기 전에 추비한다. 세포분열과 세포신장에 관련된 비료는 질소질이므로 착과 전부터 질소와 칼리를 공급해준다. 암꽃의 개화 및 착과시기에는 비료의 효과가 지나치면 결실불량이 나타난다. 수정 후 5~7일 후에 1차 추비를 실시한다. 수정 20일 이후의 질소 시비는 공동과 발생의 위험이 크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추비를 지나치게 많이 해주면 목표하는 과중보다 커지게 되어, 과육이 무르고 당도가 높아지지 않는다. 시설하우스에서는 노지와 달리 용탈량이 극히 적으므로 더욱 세심한 시비 관리가 필요하다. 표준시비량은 농경지의 대표 토양에 대한 비료 적정량 또는 양분 요구도에 따라 설정된 평균 시비량이며, 토양검정에 의한 시비기준은 토지별 토양 화학 성분 검정 결과에 따라 결정되는 것으로 표준시비량을 기준으로 시비하는 것보다 합리적인 방법이다. 수박 시설하우스는 토양 중에 양분 함량에 따라 차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