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5월 현재 국내 브로콜리 생산판매 신고는 272 품종이 되어 있다. 국내에서 재배되고 있는 품종들은 대부분 수입산이며, 국내육성 품종들은 국내에서는 거의 재배되지 않고 중국, 동남아 등지로 수출되고 있다. 도내에서는 재배되고 있는 품종은 네덜란드 및 일본산 품종이 주로 재배되고 있어 종자 수입의존도가 매우 높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농업기술원에서는 2006년부터 제주지역에서 재배 가능한 월동용 품종을 육성하고 있으며 2019년에 ‘뉴탐라그린’, 2022년에 ‘삼다그린’, ‘한라그린’ 품종을 국립종자원에 품종보호 등록하였다. 이들 품종은 1~2월 저온 다습 시 발생하는 노균병에 대한 저항성이 크며, 구의 색이 청록색이며 안토시아닌 발현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브로콜리는 다른 채소와는 달리 미숙한 꽃봉오리를 식용으로 하고, 화아분화 조건이 수확 시기(숙기의 조만생)에 따라 완전히 다르다.
따라서 재배하고자 하는 품종의 특성을 정확히 이해하고 알맞은 품종을 선택해야 성공적인 브로콜리 재배를 기대할 수 있다.
브로콜리는 생육 일수(파종에서 수확까지 일수)에 따라 분류하는데 극조생종은 90~100일, 조생종은 100~120일, 중생종은 120~145일, 만생종은 145일 이상으로 품종 구분을 하고 있다.
제주지역에서 주로 재배되는 품종으로 극조생종은 ‘유일2호’, 만생종은 ‘SK3-085’, ‘뉴탐라그린’ 등이다.
품종별 주요특성
유일2호
○ 파종 95일 후 수확 가능한 극조생종이다.
○ 초세는 중간 정도이고 잎 모양은 입성이다.
○ 화뢰 입자가 작고 균일하며, 송이가 단단하고 청록색으로 상품성이 높다.
○ 화뢰는 돔형으로 화뢰고가 높은 편이며, 안토시아닌 발생이 없다.
○ 제주지역에서는 10월 하순부터 12월 수확용으로 적합하다.
SK3-085
○ 파종 160일 전후 수확 가능한 만생종이다.
○ 초세는 중간 정도이고 잎 모양은 입성으로 밀식재배가 가능하며 내한성이 강한 편이다.
○ 화뢰색은 진녹색이며, 돔형으로 화뢰고가 높은 편이다.
○ 화뢰 입자가 가늘며, 밀도가 높은 경향이며 안토시아닌 발생이 거의 없다.
○ 노균병에 다소 약한 편이며, 늦게 정식하면 상품성이 낮아지므로 9월 하순까지 정식해야 한다.
다음 호에서는 <품종별 주요특성 2>에 대해 연재한다.
*이 기사는 월간<팜앤마켓매거진>2024년 12월호에서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