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쌀산학연협력단 정찬수 단장

2018.08.06 09:15:27

“쌀 소비 확대와 수급안정 위해 쌀 가공제품 개발과 수출시장 개척”

쌀이 단순히 허기를 채우는 밥의 역할 시대는 지났다. 더 맛있고, 건강하게 즐겨 먹을 수 있도록 쌀 가공품의 트렌드를 만들어 나가야 한다. 

전남쌀산학연협력단(단장 정찬수)은 쌀 소비 확대와 수급 안정을 위해 다양한 쌀 가공제품 개발과 수출 시장을 개척해 나가는데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특히 쌀 가공품들은 ‘맛’과 ‘건강’을 담아 생활 속 기호식품으로, 언제든지 혼자서도 물만 부으면 즐겨 먹을 수 있는 ‘간편 조리식품’등을 개발하여 지친 현대인의 몸과 마음을 위로 하고 있다. 또 미국·말레이시아 쌀 수출을 시작으로 내년에는 중국·베트남까지 주 수출국가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전남쌀산학연협력단 정찬수 단장은 “쌀 소비 확대와 수급 안정을 위해서만 다양한 쌀 가공제품을 개발하고 쌀 수출 시장을 확대해 나가는 것은 아니다. 쌀은 우리 국민의 식문화 중심이었고, 벼 재배 풍경만으로도 국민 정서 함양, 환경보전 등에 기여하고 있다. 따라서 쌀산업은 반드시 지켜 나가야할 우리농업의 유산이므로 전남쌀산학연협력단은 환경변화에 따라 쌀의 기능성, 기호식품으로 즐기기 등 쌀산업을 다각도로 변화시키고 수출시장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농업인과 함께 산·학·관이 힘을 합쳐 쌀 가공제품 개발과 수출 시장을 개척해 나가는 이러한  변화는 국내 쌀산업의 발전과 경쟁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전국 유일 농업기술 진흥기관인 
전남농업기술원에서 운영
전남도농업기술원은 벼 재배면적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쌀 재고량이 증가하고, 국민 쌀 소비량 감소로 매년 벼 재배 농가들의 소득이 감소됨에 따라 쌀 소비확대와 수급안정을 통해 농가소득을 높이기 위해 ‘전남쌀산학연협력단’을 구성 운영하고 있다.

전남농업기술원 정찬수 기술보급과장을 단장으로 전국에서 유일하게 대학이나 민간기관이 아닌 농업기술 연구·지도기관인 전라남도농업기술원에서 운영하고 있다. 재배생산, 토양·작물·보호, 가공·유통 등 3개 분과로 구성되어 대학, 민간연구소, 시군농업기술센터 등 농촌진흥기관의 전문가로 구성된 기술전문위원과 도내 벼 재배 선도농가로 이루어진 회원농가로 구성·운영되고 있다.



2단계는 실질적인 쌀 소비 확대에 박차
지난 2015~2017년 쌀 생산비 절감에 중점을 두고 추진했던 1단계 사업을 마무리했다. 2단계 사업 첫해인 2018년에는 4가지 ‘중점 운영방향’을 설정하고 사업을 추진해 나가고 있다.

첫째, 쌀 소비확대 추진이다. 그 동안 고품질 쌀 재배, 다수확 등에 중점을 두었던 생산분야에서 쌀 소비확대를 위한 가공제품 개발 및 상품화를 통해 쌀 이용의 새로운 분야를 개척하고 소비확대의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
둘째, 해외 쌀 수출시장 개척이다. 지속적인 국민 쌀 소비량 감소에 따라 국내에 남아도는 쌀 소비촉진을 위해 미국 현지 판촉행사를 비롯한 미국, 러시아, 중국 등 해외시장 개척을 통해 쌀의 대외 경쟁력을 확보하는 동시에 국내 쌀 수급안정에도 기여하고자 한다.



셋째, 홍보·판촉 강화이다. 쌀 소비촉진 분위기 확산을 위한 홍보·판촉 강화를 위해 ‘2018 광주국제식품전’등 국내 다양한 행사에 참가하여 홍보는 물론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 입주기업 등에 대한 홍보·판촉행사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넷째, 현장컨설팅 강화이다. 생산, 가공, 경영, 유통·마케팅 등 작목 전반에 걸친 종합 컨설팅을 강화하여 회원농가의 전문 경영마인드를 함양시킨다. 무엇보다 회원 상호 간 지식을 공유하고 교류될 수 있도록 현장컨설팅을 강화할 계획이다.



성과 인정 2천만원 인센티브 받다
지난해 전남쌀산학연협력단은 ‘쌀 수출 250톤’, ‘가공용 쌀을 이용한 가공품 개발 및 상품화 8건’, ‘생산비 절감을 위한 재배농가 컨설팅 460여회’, ‘고품질 쌀 생산을 위한 토양분석 310점, 품질분석 280점’, ‘언론, SNS를 이용한 연중 홍보’ 등의 성과를 인정받아 2천만원의 추가 인센티브를 지급받았다.


정찬수 단장은 “협력단 사업이 2단계 1년차에 접어든 만큼 지난 3년간의 성과와 보완점을 면밀히 분석하고, 기술전문위원, 회원농가 재정비와 분과별 목표 재설정 등 협력단의 내실화를 꾀하는 한편 쌀 소비확대와 수급안정을 위한 다양한 가공제품 개발과, 수출시장 개척으로 실질적인 농가 소득이 향상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 하겠다”고 말했다.

<팜&마켓매거진 8월호>에서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김승우 기자 farmmarket2@gmail.com
저작권자(C) 팜앤마켓. 무단전재 재배포금지

PC버전으로 보기

제호 : 팜앤마켓매거진 / 등록번호 : 서초 라 11657호 / 등록 2015년 10월 19일 / 발행·편집인 : 최서임 발행소: 서울 서초구 반포대로 14길 36 707호 한국농업트렌드연구소 인터넷신문 등록 서울, 아 04400 등록 2017년 3월 6일 대표전화 : 02-3280-1569 / 팩스 : 02-6008-3376 / 구독자센터 farm3280@naver.com 청소년 보호책임자 : 최서임 / 메일 : farmmarket2@gmail.com 팜앤마켓매거진(farm&market) 모든 콘텐츠(영상, 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