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탕무 병해충 증상과 방제

2020.04.21 09:24:59

사탕무는 비름과의 두해살이식물이다. 냉대 및 온대지역에서 많이 재배되는데 러시아, 프랑스, 미국, 독일, 우크라이나, 터키, 폴란드, 중국, 영국, 이집트 등에서 주로 생산되고 있다.


사탕무의 주요 해충과 식물병은 다음과 같다. 진딧물류에는 Aphis fabae, 복숭아혹진딧물, 아카시아진딧물, 목화진딧물, 감자수염진딧물, 기장테두리진딧물, Pemphigus populivenae 등이 있다.


Aphis fabae와 복숭아혹진딧물은 직접적으로 잎을 흡즙하므로서 피해를 줄 뿐만 아니라 사탕무황화바이러스(Beet yellows virus, BYV), Beet Western Yellows Virus (BWYV), 사탕무모자이크바이러스(Beet Mosaic Virus, BtMV)를 매개한다.
Pemphigus populivenae는 뿌리에 피해를 주는 진딧물로 피해가 심한 경우 식물체가 시들어 버린다. 파밤나방, Spodoptera praefica 유충은 주로 잎을 가해하지만 심한 경우 토양위로 노출된 사탕무 뿌리를 가해한다. 


밤나방과에 속하는 검거세미나방, Agrotis orthogonia, Agrotis subterranea, Euxoa auxiliaris, 뒷흰날개밤나방 유충은 야행성으로 식물체의 지하부를 주로 가해하는데 검거세미나방 유충의 피해가 가장 심하다. 불나방과에 속하는 Estigmene acrea 유충은 크고 성숙한 잎을 선호한다.


포충나방과에 속하는 Loxostege sticticalis, Loxostege cereralis, Achyra rantalis 유충은 짧은 시간에 많은 잎을 가해하며 거미줄을 이용하여 잎으로 집을 짓는다. 매미충과에 속하는 Circulifer tenellus에 의한 잎의 직접적인 피해는 미미하지만 Beet Curly Top virus (BCTV)와 다른 관련된 바이러스를 매개하여 사탕무에 심한 피해를 준다. Empoasca fabae, Empoasca solana에 피해를 받은 잎들은 노란색으로 변하여 집중고사(hopperburn)현상을 보인다.


<팜앤마켓매거진 4월호>에서는 안정준 박사의 사탕무에 나타난 병해충에 대해 더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안정준 박사 farmmarket2@gmail.com
저작권자(C) 팜앤마켓. 무단전재 재배포금지

PC버전으로 보기

제호 : 팜앤마켓매거진 / 등록번호 : 서초 라 11657호 / 등록 2015년 10월 19일 / 발행·편집인 : 최서임 발행소: 서울 서초구 반포대로 14길 36 707호 한국농업트렌드연구소 인터넷신문 등록 서울, 아 04400 등록 2017년 3월 6일 대표전화 : 02-3280-1569 / 팩스 : 02-6008-3376 / 구독자센터 farm3280@naver.com 청소년 보호책임자 : 최서임 / 메일 : farmmarket2@gmail.com 팜앤마켓매거진(farm&market) 모든 콘텐츠(영상, 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