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냐, 농업 성장 잠재력이 큰 나라<1>

2018.10.18 09:09:41

동물의 왕국으로 잘 알려진 케냐, 아프리카 적도 바로 아래 위치해 있으며 국토 면적이 한반도의 2,7배나 된다. 가도 가도 끝이 없는 야생의 평야지대가 계속되는 나라지만, 경지면적은 50%도 안 된다. 물을 끌어다 농사를 짓는 면적은 0.03%로 거의 하늘만 쳐다보는 농사를 짓는 곳이다. 



전국 어디서나 일 년 내내 농사 가능
케냐는 적도 바로 아래지만 지대가 낮은 곳, 높은 곳이 골고루 분포하여 지역에 따라 열대에서 온대까지 기후 지대가 다양하다. 겨울이 없어 전국 어디서나 일 년 내내 농사가 가능한 곳이다. 연중 우기와 건기로 나눠지며 우기는 3~5월과 10~12월로 일 년에 두 번 있는데, 농부들은 이때를 맞춰 파종하고 작물이 자라면 수확하여 연중 두 번 농사를 짓는다. 



양채류는 매우 중요한 경제작물
4,800만 국민 중 77%가 농업에 종사하며, 농업이 국민 총생산GDP의 25%를 차지하는 농업국가다. 농업은 관광산업과 함께 1·2위를 다투는 국가의 가장 큰 외화 수입원이며, 주요 수출 품목은 차·커피·화훼 등으로 연간 수출액이 15억 5천만 달러에 달한다. 주요 식량작물은 옥수수, 감자, 고구마 등으로 땅은 넓지만 재배기술이 낙후되어 단위 면적당 생산량은 전 세계 평균의 1/2~1/5에 불과하다.
주식인 옥수수는 국내 수요량의 30%를 매년 해외에서 수입해야 하는 식량부족 국가로 식량 자급이 4대 국정 목표의 하나가 될 정도로 농업혁신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주요 채소 재배작물은 양배추·케일·당근·토마토·양파 등으로 그 종류가 매우 제한적이다. 우리가 먹는 배추·무·상추·오이·고추 및 파프리카·브로콜리 등 양채류는 케냐 사람들에게는 매우 생소한 작물이지만, 케냐에 살고 있는 100만이 넘는 중국인을 포함하는 외국인들에게는 없어서는 안 되는 매우 중요한 경제 작물로 그 수요가 점차 늘고 있다. 



<팜&마켓매거진 10월호>에서는 케냐 코피아센터 김충희 소장의 케냐 농업 이야기를 더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김충희 소장 farmmarket2@gmail.com
저작권자(C) 팜앤마켓. 무단전재 재배포금지

PC버전으로 보기

제호 : 팜앤마켓매거진 / 등록번호 : 서초 라 11657호 / 등록 2015년 10월 19일 / 발행·편집인 : 최서임 발행소: 서울 서초구 반포대로 14길 36 707호 한국농업트렌드연구소 인터넷신문 등록 서울, 아 04400 등록 2017년 3월 6일 대표전화 : 02-3280-1569 / 팩스 : 02-6008-3376 / 구독자센터 farm3280@naver.com 청소년 보호책임자 : 최서임 / 메일 : farmmarket2@gmail.com 팜앤마켓매거진(farm&market) 모든 콘텐츠(영상, 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