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깨는 식물분류학상 꿀풀과脣形科, Laviatae에 속하는 1년생 초본으로 동부아시아 지역이 원산지로 인도, 한국 및 중국 동북부 지역에서 예로부터 재배되어 온 기름작물이다.

우리나라 최초의 농서인 농사직설農事直說, 1429에서는 이미 들깨를 유마油麻, 수임자水荏子로 기록하였으며 그 후 농가집성農家集成, 1665, 색경穡經, 1676, 해동농서海東農書, 1798~1799,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 1842~1845 등에는 임荏으로, 산림경제山林經濟, 1766, 농가요결農家要訣, 1700, 후생록厚生錄, 1767 등에서는 수소마水蘇麻로 기록되어 있으며 재배법은 후대로 내려올수록 다소 추가되어 상세히 기록하고 있다.
임원경제지1842~1845에서는 소계임蘇桂荏, 수소마 등 들깨 품종도 나타나고 있다. 들깨의 명칭은 고어로 깨(ㅂㅅ개)이었는데 이보다 늦게 전래된 참깨로 인하여 들野자가 들어간 것으로 보고 있다.
들깨는 쓰임새도 다양하여 식용 기름, 등화용 이외에 잎에서 나는 독특한 냄새를 가축들이 싫어하여 농작물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을 밭 둘레에 심거나 기상재해로 소득 작물 재배가 어려울 때 대파작물代播作物로 이용됐다.
색경에는 임료荏蓼 또는 소자蘇子로서 차조기를 설명하고 있고 해동농서, 행포지, 임원경제지에서는 자소紫蘇로 다루고 있다.
차조기의 잎은 진한 자주색을 비롯하여 녹색, 보라색 등 다양하며 향기 또한, 들깨와 매우 다르다. 쓰임새는 천식, 해독제, 해열제 등의 약용과 안토시아닌을 이용한 적색착색용, 잎과 종실을 이용한 식용 등으로 다양하다.
다음 호에서는 <들깨의 분류>에 대해 연재한다. *이 기사는 팜앤마켓매거진 2025년 4월호에서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