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당귀, 천궁 재배 현황
약재로 많이 쓰이는 당귀와 천궁은 생육 조건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뤄지지 않았으나, 최근에 수요가 많아지면서 다양한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당귀는 약 497ha의 재배면적에서 1,345톤이 생산되고 있으며(2015년), 생육기 기온이 15∼20℃ 범위에서 우수한 생육 및 품질을 보이는 호냉성 작물이다.
국내 천궁의 재배면적은 과거 30년 평균 약 99ha로 연간 712톤이 생산되고 있으며(2015년), 현재 경북 영양에서 전체 생산량의 80%를 생산하고 있다.
당귀 재배에 적합한 지역
농촌진흥청에서는 연평균기온, 생육기 평균기온(4∼10월), 7∼8월 평균기온을 기준으로 전국토를 당귀 재배적지, 재배가능지, 부적지&저위생산지로 분류했다. 적지 기준에 모두 해당하면 재배적지로 분류되고, 저위생산지 기준 3가지 중 하나라도 해당하면 저위생산지로 분류되며, 재배적지와 저위생산지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은 재배가능지로 분류된다.
미래 당귀 재배지 변동 예측
현재 재배시스템(품종, 작형 등)이 그대로 유지된다는 가정하에 SSP5-8.5¹)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적용해 우리나라 전 국토 기준 당귀 재배지 변동을 예측했다. 그 결과, 2020년대부터 급격히 감소해 2040∼50년대에는 전 국토 면적 중 재배적지와 재배가능지 비율이 각각 1%, 10% 미만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측됐다.
저온을 좋아하는 작물 특성상 지구온난화가 진행될 경우 고온 적응 품종 육성 및 재배법을 개발하는 한편, 적지에 집약적으로 재배할 수 있는 생산단지 조성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된다.

천궁 재배에 적합한 지역
농촌진흥청에서는 연평균기온, 생육기 평균기온(4∼10월), 7∼8월 평균기온을 기준으로 전국토를 당귀 재배적지, 재배가능지, 부적지&저위생산지로 분류했다. 적지 기준에 모두 해당하면 재배적지로 분류되고, 저위생산지 기준 3가지 중 하나라도 해당하면 저위생산지로 분류되며, 재배적지와 저위생산지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은 재배가능지로 분류된다.
미래 천궁 재배지 변동 예측
현재 재배시스템(품종, 작형 등)이 그대로 유지된다는 가정하에 SSP5-8.5²)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적용해 우리나라 전 국토 기준 당귀 재배지 변동을 예측했다. 그 결과, 2020년대에는 총재배가능지가 약 34.4%로 과거 30년 평균보다 1/2수준으로 급감하며, 2070년대에는 전 국토 면적 대비 약 5% 미만에서 재배가 가능할 것으로 예측됐다.
농촌진흥청은 2020년 발표된 기후변화 시나리오 SSP³)를 활용해 농업용 미래 상세 전자기후도를 제작하고, 이 전자기후도로 우리 농업환경에 맞는 ‘작물별 재배지 변동 예측 지도’를 개발했다. <계속>
이 내용은 <월간 팜앤마켓매거진 2023년 12월호>에서 더 자세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