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0 (토)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트렌드& 마켓

우리나라에서 茶의 역사는 삼국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가야(서기 48년) 김수로왕 허황옥 황후가 인도에서 차 씨앗을 도입했다는 설과 신라 흥덕왕 시기(828년)에 대렴이 중국에서 차 씨앗을 도입했다는 기록이 있다. 차 재배 및 찻잎 생산은 약 1,200년 전부터 우리나라에서 생산 및 소비되고 있다.

고구려 옛 무덤에서는 떡차(후발효차)가 출토됐고, 벽화에서 차 문화의 흔적이 기록되어 있다. 백제에서는 중국과 인도와의 교역이 발달하여 차를 관리하는 사무실이 있었다. 또한 신라의 화랑들이 사용했던 차 다구의 유물 등이 발견됐다는 것은 차의 문화가 퍼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고려사』에 따르면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친 전사한 장병들의 부모와 처자식에게 차, 생강 및 베를 하사했다고 한다. 조선시대는 대소사 행사 및 의식에서 다례문화가 발전 했고, 잎차 중심으로 널리 퍼졌다. 한재 이목, 다산 정약용, 초의선사 및 추사 김정희 선생 등은 한국차의 문화를 유지시켜 왔다.

찻잎은 약용에서 정신음료로 발전해 왔다. 자신의 성찰뿐만 아니라 정신을 맑게 하는 노력과 학문을 탐구하는 선비들이 정신을 가다듬기 위해 차를 즐겨 마셨다. 수 천년동안 선조들이 마셔온 풍습이 문화로 연결되어 차의 다도 및 다례 등의 생활은 전통문화로 연결됐다. 한국차는 역사를 가진 우리의 전통 생활문화이다. 차를 마시면서 서로 이야기하는 소통과 협력추구의 정신문화이기 때문이다.

최근 한국차학회, 한국차문화협의회 및 한국차중앙협의회 등의 학술단체, 생산자단체 및 문화단체 등은 차에 대한 생산, 소비 및 문화를 지속적으로 계승 발전시키고 있다. 농촌진흥청은 국가기관으로 한국차에 대한 연구를 산학연 공동으로 추진하고 있다.


한국의 후발효차(떡차)

떡차는 찻잎을 찧어서 떡처럼 만든 차로, 미생물 발효를 통해 만든 후발효차이다. 떡차의 모양은 동전 모양의 돈차, 둥근 달 모양의 단차, 인절미 모양의 떡차 등 크기와 모양이 다양하다. 떡차는 삼국시대부터 마시기 시작했고, 우리 민족이 수천 년간 즐겨 마시던 고유발효차이다. 떡차의 일종인 청태전靑苔錢은 발효과정에서 파란색의 이끼가 낀 것처럼 변하고 동전모양과 비슷하다고 해서 붙여졌다. 청태전의 제다법은 전남 장흥에서 계승하고 발전시키고 있다.

떡차는 찻잎을 1심 2엽 또는 1심 3엽 상태로 채취한 후 1일 정도 실내에서 말린다(위조). 위조된 찻잎에서 딱딱한 줄기와 이물질을 제거한 후, 가마솥 등에서 수증기로 찌고, 절구 등을 이용하여 분쇄 또는 파쇄 시킨다. 분쇄한 다음 모양에 맞게 성형을 하고 2일 또는 3일 정도 실내(발효조)에서 1차 건조를 한 후 떡차 가운데 구멍을 뚫어 짚 등으로 꿰어 보관하거나 그늘에서 건조하여 항아리 등에 6개월 이상 보관하면 된다. 떡차는 보리차처럼 끓여 마시면 맛이 부드럽고 찻물색은 밝은 갈색이며, 향이 좋다. 떡차에는 녹차, 홍차 및 보이차와 같이 테아닌, 아미노산, 카테킨 및 비타민 등을 함유하며, 마시기 편하고 부드러운 맛을 내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떡차의 음용방법은 보리차를 끓여먹는 것처럼 쉽고 편하기 때문에 가정과 식당 또는 단체 급식 등에서 활용 가치가 매우 높다.

농촌진흥청 온난화대응농업연구소 한국차연구실에서는 한국고유발효차 청태전 발효미생물을 분석한 결과 중국의 후발효차(보이차 등) 및 일본 후발효차(아와반차 등)와는 다른 매우 독특한 특성을 갖고 있음을 확인했고, 한국고유발효차의 독창성을 확인했다. 

온난화대응농업연구소 문두경 연구관

<팜&마켓매거진1월호>에서 더 자세한 내용을 볼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C) 팜앤마켓. 무단전재 재배포금지

관련기사





포토

더보기